작년 한반도 지진 77회…"우리나라 피해 지진 발생 가능"

김누리 2023. 2. 15. 14: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이 총 77회 발생했습니다.

지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77회로 전년(70회)에 비해 10%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최대규모 지진은 10월 29일 오전 8시 27분쯤 충북 괴산 지역에서 나타난 규모 4.1 지진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관측 이래 38번째로 큰 규모로, 2017년 포항지진 이후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항 지진 이후 처음… 지진 발생 횟수 연평균보다 높은 수치
괴산 지진으로 '지진 안전지대는 없다는 점 상기'
지난해 10월 29일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한 29일 충북 괴산군 장연면 장암리에서 주민이 금이 간 주택 담벼락을 손으로 가리키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이 총 77회 발생했습니다.

2017년 포항지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지진 발생 횟수가 처음으로 상승한 수치로 연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15일 기상청은 지난해 발생한 국내 지진 분석자료를 담은 ‘2022 지진연보’를 발간했습니다. 지진연보는 규모 2.0 이상 지진의 △목록 △분석 결과 △진도 분포도 △지진파형 △관측소 정보 등을 포함합니다.

지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77회로 전년(70회)에 비해 10% 증가했습니다. 연평균 70.6회보다 조금 많은 수준입니다.

대다수가 진동을 느낄 수 있는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총 8회로 전년(5회)보다는 많지만, 연평균보다 적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국내 지진 발생 현황/ 사진 = 기상청


지난해 발생한 최대규모 지진은 10월 29일 오전 8시 27분쯤 충북 괴산 지역에서 나타난 규모 4.1 지진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관측 이래 38번째로 큰 규모로, 2017년 포항지진 이후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입니다.

괴산 지진은 본진이 발생하기 16초 전 규모 3.5의 전진이 일어난 이례적 사례로, 지진동이 충북·경북뿐 아니라 강원·경기·대전까지 전달됐습니다.

당시 전진 3회(최대규모 3.5)와 여진 28회(최대규모 2.9)가 20여일 동안 이어졌으며, 82% 넘는 대부분의 여진은 본진 발생 후 4일 이내 발생했습니다. 괴산 지진은 지진 안전지대는 없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괴산 지진 당시 지진재난문자는 관측 후 13초 만에 충북·경북·대전 등에 속보로 전송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금까지 지진속보 시간은 20~40초 가량 앞당겨졌습니다.

작년 규모 2.0 이상 지진 분포도/ 사진 = 기상청


지난해 남한지역별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경북 7회, 충북 5회, 충남 4회, 나머지 지역은 2회 이하로 관측됐습니다.

경북 지역에서 경주·포항지진의 여진은 줄었지만 영덕·상주 등 다른 지역에서 지진 발생이 늘었고, 충북 지역은 괴산지진과 그 여진으로 예년보다 많았습니다.

지진계에서만 감지되는 규모 2.0 미만의 작은 지진은 대구·경북 182회, 대전·충남·세종 66회, 충북 52회, 광주·전남 31회, 전북 23회, 부산·울산·경남 22회, 서울·경기·인천 17회 순으로 발생했습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괴산지진은 우리나라 어느 곳에나 피해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로, 항상 지진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오늘의 기록이 지진방재와 학술연구 등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다음 세대를 위한 보살핌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김누리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r502618@naver.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