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선택과 집중을 위한 집짓기 자재 가이드

매거진 2023. 1. 16. 1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용도에 따라 취향에 따라 천차만별인 건자재.

같은 예산 안에서도 어떤 자재에 더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전원속의 내집이 제안하는 같은 듯 다른 주택 자재 비교 셀렉션.

300, 350, 400mm 정도가 정석으로 여겨지는데, 시공비와 인건비가 조금 높아지지만 장선이 좁을수록 체결력이 높아져 더욱 안정적인 보행감과 내구성을 느낄 수 있다.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진 건식 데크 시공법.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연방부목 데크재 & 페데스탈 석재 데크 시스템

용도에 따라 취향에 따라 천차만별인 건자재. 같은 예산 안에서도 어떤 자재에 더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전원속의 내집이 제안하는 같은 듯 다른 주택 자재 비교 셀렉션.


Choice.1
천연방부목 데크재

천연데크재, 남양재, 하드우드 등으로 표현되는 목재. 일반적인 나무들과 달리 수분 접촉에 강하고 내부의 부후 방지 성분으로 인해 병충해나 부식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는 가격에 따라 다양한 수종들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페, 마사란두바, 멀바우, 방킬라이 등이 특유의 색상으로 주택용 데크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고가의 수종일수록 치수 안정성이 좋은 편이지만, 품종이 다양한 만큼 가격 또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물류거래 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수분 침투로 인한 변형 방지를 위해 목재 전용 스테인을 도포해 관리해 주는 것이 좋다.


< PLUS 천연방부목 >

데크재의 수종을 고를 때는 색상보다는 내구 연한과 함수율을 파악하는 것이 추후 관리 면에서 더욱 도움이 된다. 교체의 번거로움이 줄고 유지가 쉬워지기 때문. 또한 목재인만큼 자연스러운 변형에 대비해 2~3mm의 간격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장선 간격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300, 350, 400mm 정도가 정석으로 여겨지는데, 시공비와 인건비가 조금 높아지지만 장선이 좁을수록 체결력이 높아져 더욱 안정적인 보행감과 내구성을 느낄 수 있다.

데크 19×90×1800(mm) *이외 비규격재 생산 가능

인터우드 032-578-0641 www.iwkorea.co.kr


Choice. 2
페데스탈 석재 데크 시스템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진 건식 데크 시공법. 기본적으로 시공면적에 따라 일정 개수의 시스템 받침을 경계 삼아 판재를 배열하는 식으로 시공한다. 건식 공법이기에 시공성 면에서 유리하며, 철거 후 재사용에도 용이하다. 시공 시 자체 경사 보정이 가능해 작업 환경 호환성도 좋은 편이다. 또한 흡수율이 낮아 뒤틀림이나 탈락 등 변형의 위험이 적고 오염 시에도 물로 쉽게 청소가 가능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색과 스크래치 염려도 적은 편이다. 대리석재의 질감은 물론 자연목재와 같은 표현까지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 PLUS 페데스탈 >

페데스탈 데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받침을 통해 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배수와 환기를 용이하게 해 옥상이나 테라스 등 직접적으로 햇빛이나 비에 노출되는 공간 시공에도 무리가 없다. 이 경우 난간의 높이 규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바닥 포장의 높이를 난간 규정과 맞게 시공해야 한다. 페데스탈 시공 시 방수는 보호몰탈 위에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닥을 뚫어서 고정하는 방식이 아닌 받침대 위에 띄우는 건식 공법이기 때문에 노출 우레탄 바로 위에 시공할 수도 있다.

데크타일 20 ~ 40×395 ~ 595×595 ~ 1195(mm)

보현석재 031-536-5296 www.carmi.co.kr

취재_ 손준우  |  사진_ 브랜드 제공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23년 1월호 / Vol.287  www.uujj.co.kr


Copyrigh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