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올스타 브레이크 리뷰] 안양 KGC인삼공사, 변함없는 단독 1위

손동환 2023. 1. 12. 07: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전히 단독 1위다.

안양 KGC인삼공사를 우승 후보로 본 이는 많지 않다.

김상식 KGC인삼공사 감독과 선수들 모두 이를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KGC인삼공사의 2022~2023시즌을 긍정적으로 본 이가 많지 않았던 이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단독 1위다.

안양 KGC인삼공사를 우승 후보로 본 이는 많지 않다. 하지만 KGC인삼공사는 예상 외의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1라운드부터 지금까지 단독 1위를 한 번도 놓지 않았다.

순위만 보면 압도적이다. 그러나 경기력은 그렇지 않다. 매 경기 힘들었다. 보완해야 할 점이 분명 있다는 뜻이다. 김상식 KGC인삼공사 감독과 선수들 모두 이를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 단독 1위

KGC인삼공사는 2020~2021시즌 종료 후 제러드 설린저(206cm, C)와 이재도(180cm, G)를 놓쳤다. 2021~2022시즌 종료 후에는 전성현(188cm, F)을 붙잡지 못했다. KGC인삼공사의 2022~2023시즌을 긍정적으로 본 이가 많지 않았던 이유.
하지만 김상식 KGC인삼공사 감독만의 컬러와 선수들의 강팀 DNA가 긍정적으로 결합됐다. 1라운드부터 단독 1위로 치고 나갔다. 특히, 접전 상황에서 많은 우위를 점했다.
변준형(185cm, G)과 문성곤(195cm, F), 양희종(195cm, F)과 오세근(200cm, C), 오마리 스펠맨(203cm, F) 등 기존 멤버가 강력하다. 오랜 시간 합을 맞췄기 때문에,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3~4라운드도 마찬가지였다.
여기에 박지훈(184cm, G)과 배병준(189cm, G), 렌즈 아반도(186cm, G)와 김경원(198cm, C) 등 식스맨들이 치고 올라왔다. 주축 자원의 체력 부담을 덜어줬다. 그러면서 KGC인삼공사는 강팀의 면모를 계속 보여줄 수 있었다. 올스타 브레이크 전 마지막 경기에서도 난적인 울산 현대모비스를 제압했다. 단독 1위를 여유롭게 수성할 수 있었다.

# 불안 요소

위에서 이야기했듯, KGC인삼공사는 단독 1위다. 하지만 상대를 압도한 경기는 거의 없다. 특히, 3라운드 첫 5경기에서는 1승 밖에 거두지 못했다.
지난 2022년 12월 27일 고양 캐롯에도 질 뻔했다. 그러나 박지훈의 기적 같은 퍼포먼스가 KGC인삼공사를 살렸다. 터닝 포인트를 마련한 KGC인삼공사는 4연승으로 위기에서 벗어났다. 2위 그룹과 간격을 다시 벌렸다.
가장 큰 이유. 외국 선수가 상대를 압도하지 못한다. 물론, 스펠맨과 대릴 먼로(196cm, F) 모두 뛰어난 선수지만, 확률 높은 농구를 하는 편은 아니다. 상대 외국 선수를 3점 라인 부근으로 끌어낼 수 있지만, 페인트 존에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특히, 스펠맨이 그렇다. 스펠맨의 돌파 시도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상식 KGC인삼공사 감독이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는 요소지만, 스펠맨의 경기 패턴이 달라지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스펠맨이 이타적인 플레이를 많이 하는 것도 아니다.
그렇게 되면, 오세근의 부담이 커진다. 정규리그 후반부로 갈수록, 체력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오세근까지 흔들리면, KGC인삼공사가 변수를 만들지 못할 수 있다. 정규리그보다 훨씬 중요한 플레이오프라면, 더 그렇다. 우승을 바라보고 있다면, 불안 요소로 인한 미세한 손실도 생각해야 한다.

[안양 KGC인삼공사, 3라운드 이후 경기 결과]
1. 2022.12.11. vs 대구 한국가스공사 (대구실내체육관) : 95-100 (패)
2. 2022.12.15. vs 전주 KCC (안양실내체육관) : 80-92 (패)
3. 2022.12.17. vs 수원 KT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 : 89-77 (승)
4. 2022.12.18. vs 서울 SK (안양실내체육관) : 81-82 (패)
5. 2022.12.24. vs 창원 LG (안양실내체육관) : 73-79 (패)
6. 2022.12.27. vs 고양 캐롯 (안양실내체육관) : 84-82 (승)
7. 2022.12.29. vs 원주 DB (안양실내체육관) : 92-74 (승)
8. 2022.12.31. vs 울산 현대모비스 (울산동천체육관) : 77-68 (승)
9. 2023.01.02. vs 원주 DB (원주종합체육관) : 86-70 (승)
10. 2023.01.06. vs 수원 KT (안양실내체육관) : 83-85 (패)
11. 2023.01.08. vs 서울 SK (안양실내체육관) : 83-80 (승)
12. 2023.01.11. vs 울산 현대모비스 (울산동천체육관) : 100-86 (승)

 * 3라운드부터 12경기에서 7승 5패

사진 제공 = KBL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