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볶음밥으로 끼니 때웠나요? “한끼론 영양 부족하고 너무 짜”

정유미 기자 2023. 1. 10. 14: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원

최근 간편하게 즐겨먹는 냉동볶음밥이 한끼 식사로는 영양 성분이 부족하고 나트륨 함량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포장째 전자레인지에 돌릴 경우 화상도 입을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냉동볶음밥 25개(고기볶음밥 10개·새우볶음밥 8개·닭가슴살볶음밥 7개) 제품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1인분당 열량은 219∼510㎉로 한 끼 식사 영양성분 기준치(667㎉)의 33∼76%에 불과했다.

탄수화물 함량은 33∼99g로 기준치의 31∼92%, 단백질은 7.9∼20.1g으로 기준치의 44∼112% 수준이었다.

지방 함량도 3.1∼14.8g으로 한 끼 기준치의 17∼82% 수준에 그쳤다.

1인분당 열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천일식품 소불고기볶음밥Ⅱ(510㎉·99g)이 가장 높았고 대상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219㎉·33g)이 가장 낮았다.

단백질 함량은 허닭의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20.1g)이 가장 많았고 오뚜기 맛있는 새우볶음밥(7.9g)이 가장 적었다.

지방 함량은 하림 원물식감 닭가슴살볶음밥(14.8g)이 가장 많았다.

1인분 기준 나트륨 함량은 440∼1615㎎으로 한 끼 기준치(667㎎)로 볼 때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쿠팡의 PB자회사 씨피엘비의 곰곰 소불고기볶음밥(1615㎉)으로 한 끼 기준치의 242% 수준이었고 대상의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440㎉)이 가장 낮았다.

1인분당 중량은 평균 232g으로 동일 유형 제품 중 고기 함량은 CJ제일제당의 비비고 불고기비빔밥(22.5g)이 가장 많았다.

새우는 홈플러스 시그니처 새우볶음밥(31.0g)이, 닭가슴살은 허닭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36.6g)이 가장 많이 들어 있었다.

홈플러스 시그니처 소불고기볶음밥(포화지방 함량)과 아워홈 소불고기볶음밥(단백질함량), 허닭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나트륨 함량)은 영양성분 관련 표시 개선이 필요했다.

게다가 전자레인지로 포장째 조리할 경우 화상 등 위험이 있다. 그러나 대상 호밍스 소고기볶음밥과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의 아임웰 닭가슴살 야채볶음밥이 포장째 조리하도록 돼 있어 시정 권고를 받았다.

냉동볶음밥 1인분 기준 가격은 1590~3990원으로 제품별 차이가 있었다. 고기볶음밥의 경우 아워홈 소불고기볶음밥(아워홈)이 1980원으로 가장 쌌고 심야식당 와규스테이크 볶음밥(동원F&B)이 3990원으로 가장 비쌌다.

새우볶음밥은 천일냉동 새우볶음밥N(천일식품)이 159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비비고 새우볶음밥(CJ제일제당)과 통새우볶음밥(풀무원식품)은 2990원으로 가장 비쌌다.

닭가슴살 볶음밥은 요리하다 닭가슴살볶음밥(롯데쇼핑)이 2590원으로 가장 낮았고,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대상)이 3000원으로 가장 비쌌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