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냉동볶음밥, 한끼로 영양성분 부족"

전서인 기자 2023. 1. 10. 13:4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냉동볶음밥의 영양성분이 한 끼 식사로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냉동볶음밥 25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영양 성분 함량이 한 끼 식사로 부족하고 나트륨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1인분당 열량은 219∼510kcal로 한 끼 식사 영양성분 기준치(667kcal)의 33∼76%에 불과했습니다. 탄수화물 함량은 33∼99g로 기준치의 31∼92%, 단백질은 7.9∼20.1g으로 기준치의 44∼112% 수준이었습니다. 지방 함량도 3.1∼14.8g으로 한 끼 기준치의 17∼82% 수준에 그쳤습니다.

열량과 탄수화물이 가장 높은 제품은 '소불고기볶음밥Ⅱ(천일식품)'으로 열량 510㎉(76%), 탄수화물 99g(92%)이었고, 상대적으로 열량, 탄수화물이 낮은 제품은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대상)'으로 열량 219㎉(33%), 탄수화물 33g(31%)이었습니다.

단백질 함량은 '허닭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허닭)'이 20.1g(112%)으로 가장 높았고, '맛있는 새우볶음밥(오뚜기)'이 7.9g(44%)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나트륨 함량은 제품 간 최대 2.7배 차이가 났습니다. '곰곰 소불고기볶음밥(씨피엘비·CPLB)'이 538mg으로 가장 높았고, '통새우볶음밥(풀무원식품)'이 201mg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포화지방 함량 역시 제품 간 최대 6배가 차이 났는데 '심야식당 와규스테이크 볶음밥(동원F&B)'이 1.8g으로 가장 높고,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대상)'이 0.3g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제품의 영양성분 표시 실태를 확인한 결과, '홈플러스 시그니처 소불고기볶음밥(홈플러스)'은 포화지방 함량, '아워홈 소불고기볶음밥(아워홈)'은 단백질 함량, '허닭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허닭)'은 나트륨 함량이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른 표시량의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냉동볶음밥 1인분 기준 가격은 1590~3990원으로 제품별 차이가 있었습니다.

고기볶음밥 제품의 경우, '아워홈 소불고기볶음밥(아워홈)'이 1980원으로 가장 낮았고, '심야식당 와규스테이크 볶음밥(동원F&B)'이 3990원으로 가장 비쌌습니다.

새우볶음밥 제품은 '천일냉동 새우볶음밥N(천일식품)'이 1590원으로 가장 낮았고, '비비고 새우볶음밥(CJ제일제당)'과 '통새우볶음밥(풀무원식품)'이 2990원으로 가장 비쌌습니다.

닭가슴살 볶음밥 제품은 '요리하다 닭가슴살볶음밥(롯데쇼핑)'이 2590원으로 가장 낮았고,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대상)'이 3000원으로 가장 비쌌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