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들어간 디지털 교과서… 2025년 초3·4, 중1, 고1 학생들부터 쓴다

김은경 기자 2023. 1. 5. 17: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5년 초등 3·4학년, 중1, 고1 학생들부터 ‘AI(인공지능)’ 기능을 넣은 새로운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을 받게 된다. 지금도 초·중·고 학생들은 종이 교과서와 함께 사회, 영어, 과학 과목은 컴퓨터나 태블릿 PC로 보는 디지털 교과서를 쓴다. 하지만 이 디지털 교과서는 종이 교과서를 화면으로 옮겨 놓은 수준에, 교과서 내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동영상이나 평가 문제로 이어지지만 문제 수가 적고 동영상 수준이 낮아 디지털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3년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뉴스1

앞으로는 이런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 AI 기능을 대폭 가미, 학생 수준에 따라 학습 단계가 달라지는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새롭게 도입하는 디지털 교과서는 수준별로 방대한 문제를 보유하고 있고, 학생이 그 문제를 맞히느냐에 따라 AI가 수준을 파악해 학습 단계를 각각 다르게 설계한다. 이런 식으로 학생 학습 자료가 쌓이면 교사는 이를 토대로 개별 학생 학력을 다르게 관리하고 차별화한 지도도 할 수 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2025년까지 모든 학생에게 디지털 기기를 지급, ‘1인 1디바이스’를 갖추겠다고 했다.

교육부는 교육기업인 아이스크림, 천재교육, 비상교육, 미래엔 등이 이 같은 AI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교과서 성능을 향상하는 게 그다지 어렵지 않다고 보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 과목도 현재 사회·영어·과학에서 국어·정보·수학으로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교육부는 일단 AI 디지털 교과서를 본격 보급하더라도 당분간은 종이 교과서를 없애지 않기로 했다. 개별 학교에 선택권을 주고 종이와 디지털 중 하나를 고르게 하면서 장기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주도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지난 9월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참관객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체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 외국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고 있다. 교육학술정보원(KERIS)에 따르면 독일 자를란트주는 올해부터 초1·2년생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서 종이 교과서를 없애고 디지털 교과서만 쓰도록 했다. 수학 과목은 AI 기술을 활용, 학생 수준에 따라 맞춤형 학습 자료와 문제가 제시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교사의 개념이 티처(teacher)에서 ‘코치’ ‘컨설턴트’ ‘헬퍼’ 등으로 바뀌고 있다”면서 “교육 방법과 기기에서 (모두)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 신속하게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