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만흥지구서 못살겠어요" LH 개발 '불가피론' 찬성 주민들

2023. 1. 2. 13: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인들 "태풍·해일 상습 피해지역" 호소...마을지원기금 5억원 쓰임새 의혹도
태풍으로 인해 여수 만성리 해수욕장 일대 상가가 상습 침수 피해를 겪고 있다. [주민 제공]

[헤럴드경제(여수)=박대성 기자] "언론에서는 삭발식을 하고 시위를 하고 하니까, 주민들이 다 반대하는 줄 아는데 그렇지 않아요. 우리는 어서 빨리 개발해줬으면 합니다."

여수시가 LH(토지주택공사)를 시행사로 선정해 만성리(만흥동) 해수욕장 일대에 택지개발을 추진하는 가운데 마을 일부 주민들은 잦은 태풍 피해를 호소하며 조속한 개발을 염원하고 있어 대조적이다.

이런 가운데 해수욕장과 맞닿은 상가 지역 주민들 위주로 태풍·해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며 여름만 되면 반복되는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서라도 개발이 불가피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앞서 여수시와 LH는 태풍·해일이나 너울성 파도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해안가에서 50m 정도 들여서 개발하겠다고 만흥지구 개발 구상을 발표해 해변가 상가 주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개발 찬성파 주민들은 ▲태풍·해일 피해로부터의 해방 ▲해변 상가 불법 건축물 정비 필요 ▲생활 오·폐수 무단 방류로 인한 수질오염 누적 등을 거론하며 조기 개발을 요청하고 있다.

이 마을주민 정모(71)씨는 "여름철에 태풍만 왔다 하면 해안가 상가들은 해일 피해로 침수가 반복되고 있어 우리들은 진짜 생명의 두려움을 느낄 정도로 매년 태풍 피해를 겪고 있다"며 "여기 상가가 40여개 되는데, 온통 불법건축물로서 관광객도 많이 오는데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을 주민 이모씨도 "나도 마을에 전답이 있는 사람으로서 만성리 일대가 경사가 가팔라 연로하신 노인분들이 경운기 등 사고가 많이 나고 있어 객지에 사는 자녀들이 항상 부모 걱정에 노심초사하고 있다"며 "마을 주민의 3분의 2이상이 개발에 찬성하는데, 일부의 목소리가 크게 부각돼 개발이 지연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만성리 해수욕장 횟집 골목에 불법 가설 건축물이 즐비하지만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않고 있다. [주민 제공]

또 다른 토박이 주민은 "만흥동 일대 112가구 중 70~80가구로 70% 이상이 LH개발에 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정화조도 없어 생활 오폐수가 그대로 바다로 방류돼 악취를 풍기는 낙후지역 개발을 원하고 있는데 강성 반대 의견에 묻히고 있다"면서 "개발 반대 운동이 순수하지 않고 4000억원이 투입될 LH를 밀어낸 뒤 주택조합을 목적으로 민간 개발업자를 끌어들이려 하고 있으며, 벌써부터 모 개발업자가 주민들을 접촉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앞서 권오봉 시장은 지난 2019년 5월 ‘여수 만흥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조성사업’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하고, 만흥동 일원 41만㎡ 면적 개발을 위한 국토부 지구계획 승인을 시도하고 있으나, 개발을 반대하는 주민들로 구성된 '개발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시위로 LH 개발 논의가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개발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만성리 마을 대표에 대해서도 불신하고 있다.

한 주민은 "시청에서 쓰레기매립장이 있는 만흥동 마을주민 지원기금으로 매년 5000만원을 지원받고 있는데, 마을 대표라는 사람은 한끼에 5만원짜리 밥을 샀다고 하질 않나, 펜션 숙박비로 객실당 20만원을 지출했다고도 하는데 10년 이상 장기집권한 마을 대표가 관리하는 돈이 10년이면 5억원 아니냐"고 집행 내역에 의혹을 제기했다.

주민들은 중재에 나선 지역구 김회재 국회의원이 만남을 회피하는 듯한 자세에 대해서도 서운함을 감추지 않았다.

정씨는 "비대위가 개발반대를 명분으로 하고 있지만 속으로는 공공기관인 LH가 물러서면 오히려 자본력이 검증 안된 민간업자에 의해 군데군데 난개발이 될 것"이라며 "만흥지구가 2015년 12월 개발구역 지정(행위 제한)으로 8년째 아무런 재산권 행사도 못하고 있는데 지역구 국회의원이 이런 사실을 아는지, 분열된 주민 간의 갈등은 어떻게 치유할건지 답답하다"고 김 의원에 하소연하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다.

한편, 전남도는 부동산 투기를 우려해 여수시 만흥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급 촉진지구(41만2000㎡)를 이달 10일부터 향후 2년 간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

parkd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