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강릉] 양양 ‘폐기물매립장’ 화재 사흘째…미세먼지에 주민 대피

노지영 2022. 12. 29. 19: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이어서 강릉입니다.

양양의 생활 폐기물매립장에서 난 불이 사흘째 꺼지지 않고 있습니다.

대기 환경기준을 크게 웃도는 미세먼지 농도에 인근 주민들은 긴급 대피하기도 했는데요.

화재 진화에는 일주일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노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7일 새벽 불이 난 한 생활폐기물매립시설입니다.

엿가락처럼 늘어진 철골 구조물 안쪽 쓰레기더미에서 회색 연기가 연신 뿜어져 나옵니다.

진화 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지만 진화율은 1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지상 폐기물만 2만 7천여 톤으로 추정되는데, 비닐과 플라스틱이 많아 쉽게 꺼지지 않습니다.

산불 확산 우려 속에 밤마다 부는 강풍은 진화의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최식봉/양양소방서장 : "건물 철 구조물을 한 번에 제거해버리면 바람에 의해서 불씨가 많이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조금씩 제거하면서 바로바로 흙을 덮고 있습니다."]

그나마 화재가 확산할 가능성은 줄었지만, 대기오염이 걱정입니다.

한때 인근 마을의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 농도는 세제곱미터당 1,000마이크로그램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언덕을 넘어가면 쓰레기매립장이 있습니다.

화재 현장에서 1km가량 떨어진 이 마을에도 연기가 자욱합니다.

이 때문에 마을 주민 40여 명은 인근 휴양림 등으로 대피했습니다.

[강정숙/양양군 양양읍 : "이렇게 연기 가지고 사람 못 살게 하니까 속상해서 그렇죠. 아휴 속상해서 죽겠어요. 연기가 독해서 밤에 자는 데도 목구멍이 뻑뻑하더라고."]

소방당국은 이번 불을 완전히 끄는 데 일주일 정도 더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양양군은 마을에 남은 일부 주민들에게 공기청정기를 보급하고, 화재를 완전히 진압할 때까지 대기오염 이동측정 시스템을 가동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노지영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고성 송지호 ‘전어 떼죽음’ 원인 “수온 저하”

지난 8일 고성군 죽왕면 송지호에서 발생한 전어 떼죽음의 원인이 급격한 수온 저하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고성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은 어린 전어는 겨울철 낮은 수온에 취약한데, 떼죽음 발생 전날인 지난 7일 수온이 4도 정도로 낮아 집단 폐사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수질과 물고기 폐사체 분석 결과 독성물질은 따로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속초시, 생활쓰레기종량제 봉투 100리터들이 제작 중단

속초시가 내년부터 100리터들이 생활쓰레기 종량제봉투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속초시는 쓰레기를 채운 종량제봉투 무게가 환경미화원의 산재 유발 원인으로 지적된 데 따라, 100리터들이 봉투를 제작하지 않고, 75리터들이와 50리터들이 봉투 제작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앞서 강릉시는 올해 초부터 100리터들이 종량제 봉투를 제작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강릉이었습니다.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노지영 기자 (no@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