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틀맨', 모자란 '나이브스 아웃'? 통쾌함 부족한 반전 범죄물 [시네마 프리뷰]

정유진 기자 2022. 12. 28. 16: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의 주요 내용을 포함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28일 개봉한 영화 '젠틀맨'(감독 김경원)은 헤어진 남자친구가 빼앗아 간 강아지를 되찾아 달라는 의뢰를 맡게 된 유능한 흥신소 사장 지현수(주지훈 분)의 푸념으로 시작한다.

그렇게 검사에게 체포돼 연행되던 중에 타고 있던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그 사고로 인해 용의자인 지현수와 운전을 하던 검사의 신분이 뒤바뀌게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젠틀맨' 스틸 컷

(서울=뉴스1) 정유진 기자 = *영화의 주요 내용을 포함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28일 개봉한 영화 '젠틀맨'(감독 김경원)은 헤어진 남자친구가 빼앗아 간 강아지를 되찾아 달라는 의뢰를 맡게 된 유능한 흥신소 사장 지현수(주지훈 분)의 푸념으로 시작한다. 여러 사건들을 100% 해결해온 그지만, 때로는 이렇게 별 것 아닌 일에도 나서야 한다. 그렇게 의뢰인과 함께 전 남자친구가 있다는 펜션에 간 지현수는 그곳에서 괴한의 습격을 받고 쓰러진다. 깨어나 보니 그는 난데없이 납치 용의자로 몰려있는 상황. 그렇게 검사에게 체포돼 연행되던 중에 타고 있던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그 사고로 인해 용의자인 지현수와 운전을 하던 검사의 신분이 뒤바뀌게 된다.

검사는 혼수상태에 빠져 있어 어쩌다 보니 검사 행세를 하게 된 지현수는 자신이 쓴 누명을 벗기 위해 움직인다. 그는 자신이 누명을 쓰게 된 납치사건이 특수부 검사 출신이자 대형 로펌의 대표 변호사 권도훈(박성웅 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권도훈을 쫓던 독종 검사 이화진(최성은 분)과 손을 잡고 사건을 파헤쳐가기 시작한다.

범죄 오락물이라는 수식어를 내세운 '젠틀맨'은 어쩐지 명작 추리물 '나이브스 아웃'과 비슷한 느낌을 풍긴다. 클래식하고 웅장한 음악과 미술 등을 통해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특유의 스타일이나 인물들의 캐릭터가 강조되는 연극적인 구성, 예상하지 못한 반전이 두 번이나 등장하는 점이 그렇다. 하지만 '나이브스 아웃'과 '젠틀맨'이 종국에 관객들로 하여금 도달하게 하는 감정은 확연하게 다르다. 전자가 명쾌한 떡밥 회수로 카타르시스를 준다면, 후자는 복잡한 이야기와 효과적이지 못한 전개로 관객의 몰입을 깨고 만다.

인물과 사건을 소개하는 도입부는 나쁘지 않다. 주인공 지현수부터 빈틈 없고 욕심 많은 검사 이화진(최성은), 우아한 겉모습 안에 잔혹한 악인의 내면을 감춘 권도훈(박성웅 분)까지, 개성 강한 캐릭터들을 연기한 배우들의 연기가 몰입을 이끈다. 특히 최성은은 주지훈과 박성웅 사이에서 기죽지 않고 안정감 넘치는 연기를 보여준다.

하지만 반전이 밝혀지는 후반부는 어쩐지 지지부진하다. 반전으로 내세운 두 종류 사건의 실체 모두 갑자기 튀어나와버리는 느낌을 주는데, 이는 영화의 중반부 반전을 위한 포석을 제대로 깔아놓지 않은 탓일 가능성이 높다. 반전의 효과가 떨어지니 범죄물의 결말 부분에서 기대하게 되는 통쾌함이나 카타르시스를 느끼기가 어렵다. 결국 남는 것은 배우들이다. 강아지 '윙'과도 호흡을 맞춘 주지훈은 영화 속에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이목을 끈다. 박성웅 역시 캐릭터에 꼭 맞는 캐스팅의 힘을 보여주며, 앞서 언급했듯 최성은은 당차고 흔들림 없이 우직한 여성 캐릭터를 잘 연기해 영화 속 힘의 균형을 훌륭하게 맞췄다. 러닝타임 123분.

eujene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