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착륙 대책에도… 아파트 매수심리 또 최저치

신수지 기자 2022. 12. 23. 08: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남 3구만 소폭 반등
서울 시내 아파트의 모습. /뉴스1

정부가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아파트 매수심리는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셋째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1.0으로 지난주(72.1)보다 1.1포인트 떨어졌다. 2012년 7월 부동산원이 매매수급지수를 조사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4주 연속 역대 최저를 경신했다.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64.0으로 지난주 64.8에 비해 0.8포인트 하락했다. 2012년 7월 첫째주(58.3) 이후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작년 11월 셋째주(99.6) 이후 1년 넘게 100을 밑돌고 있다.

서울 대부분 지역의 매수 심리가 악화됐다. 은평·마포·서대문구 등이 속한 서북권의 지수가 지난주 59.5에서 이번주 58.0으로 떨어져 서울 5개 권역 중 가장 낮았다. 영등포·양천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62.4에서 61.3으로 하락했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있는 동북권도 63.4에서 62.2로 떨어졌다. 종로·용산구가 포함된 도심권역 지수는 66.6에서 64.6으로 2.0 포인트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가 속한 동남권만 71.9에서 72.8로 0.9포인트 반등에 성공했다.

아파트 매수심리가 서울에서 가장 낮은 서북권과 서남권에선 실거래가 하락세가 더 가팔라지고 있다. 은평구 녹번동 ‘북한산푸르지오’ 전용 84㎡는 지난달 8억7000만원에 팔려 최고가(13억6500만원) 대비 5억원 가까이 내렸다. 마포구 신수동 ‘밤섬경남아너스빌’ 전용 84㎡도 지난달 최고가(14억원)보다 4억원 넘게 내린 9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영등포구 신길동 ‘래미안에스티움’ 전용 84㎡는 지난달 11억4000만원에 팔려 최고가(16억9000만원)보다 5억5000만원 하락했다. 양천구 신월동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1단지’도 지난달 최고가(13억원)보다 4억원 넘게 내린 8억9500만원에 손바뀜 됐다.

전세 시장은 매매 시장보다 수급지수가 더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61.8로 지난주 63.1에 비해 1.3포인트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72.1에서 70.8로 1.3포인트 내렸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