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동지팥죽

박완규 2022. 12. 20. 23: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지(冬至)는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기다.

예전에는 동지를 '아세(亞歲)' 곧 '작은 설'이라고 부르며 설 다음가는 경사스러운 날로 여겼다.

그래서 중국 주나라에서는 동지를 설로 삼았다.

해마다 동짓날에 중국에 사신을 보냈는데, 이를 동지사(冬至使)라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지(冬至)는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기다.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예전에는 동지를 ‘아세(亞歲)’ 곧 ‘작은 설’이라고 부르며 설 다음가는 경사스러운 날로 여겼다. 동지 이후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를 두고 양의 기운이 싹튼다고 했다. 그래서 중국 주나라에서는 동지를 설로 삼았다. ‘동지 지나 열흘이면 해가 소 누울 자리만큼 길어진다’는 속담도 있다. 조선 후기 문인화가 김창업은 시 ‘동지’에서 “땅 밑에 외로운 양(陽)이 돌아오니/ 하늘가에 가는 비가 오네./ 쌓인 음(陰)은 갑자기 다 없앨 수 없고/ 따뜻한 음율은 가벼이 재촉할 수 없다네”라고 읊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관상감이 만든 책력을 백관에게 나눠줬다. 해마다 동짓날에 중국에 사신을 보냈는데, 이를 동지사(冬至使)라 했다. 민간에서는 팥으로 죽을 쑤어 대문이나 장독대 등에 뿌리기도 했다. 나쁜 기운을 물리쳐 재앙을 피하려는 풍속이다. 팥이 붉은 색깔을 띠고 있어 벽사(?邪: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침)의 힘이 있다고 믿었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전해진다. 새알심이라 불리는 찹쌀경단을 나이 수대로 먹었다.

조선 후기 문인 유만공은 ‘세시풍요’에서 동지에 관해 이렇게 노래했다. “늙은 몸 돌아보게 하는 추운 날 붉은 팥죽/ 둥글고 둥근 새알이 한 그릇에 가득하네./ 붉은 죽을 쑤어 문짝에 어지러이 뿌리니/ 공공(共工)씨의 아이 붉은색을 두려워해서라네.” 공공씨는 중국 요순시대에 형벌을 담당했다는 신화적 인물이다. 이어 “공공씨의 못된 자식이 이날에 죽었기 때문에 피 대신 죽을 발라서 귀신을 쫓는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중국 수나라 때 형초(荊楚) 지역의 세시기인 ‘형초세시기’에 “공공씨의 고약한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 역질 귀신이 됐는데, 그가 생전에 팥을 두려워해 팥죽을 쑤어 물리친 것”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동지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사람들은 그 의미를 되새기는 데 인색하다. 동지 하면 팥죽 정도만 떠올리는데 팥죽 쑤는 집도 많지 않다. 이제는 묵은해를 보내며 음지의 이웃을 생각하는 것만으로 족할 것이다.

박완규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