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친구 100명과 같이 쓰는 무한 메모장 앱 출시 [이앱!]

김혜선 2022. 12. 14. 1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애플은 최신 운영체제인 iOS 16.2 업데이트를 배포하면서 새로운 협업 컨버스 앱 프리폼(Freeform)을 추가했습니다.

애플이 만든 '기본앱'은 뛰어난 직관성과 탄탄한 기본기로 유명한데요.

프리폼 앱을 열고 신규 보드를 만들면 광활한 화이트보드가 펼쳐집니다.

손으로 그리는 메모 앱은 가로, 세로 크기를 정해두고 앱을 실행하지만, 프리폼은 상하좌우로 무한히 생각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앱!은

모든 일상을 휴대폰과 함께하는 MZ세대에게 신기하고 흥미로운 어플리케이션(앱)을 소개해드립니다.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최근 애플은 최신 운영체제인 iOS 16.2 업데이트를 배포하면서 새로운 협업 컨버스 앱 프리폼(Freeform)을 추가했습니다. 애플이 만든 ‘기본앱’은 뛰어난 직관성과 탄탄한 기본기로 유명한데요. 프리폼 역시 출시 초반부터 잘 만들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사진=애플 뉴스룸)

지난 13일(현지시간) 애플은 뉴스룸을 통해 프리폼 출시 소식을 알렸는데요. 한마디로 표현하면 ‘(애플 유저 간) 공유 가능한 화이트보드’죠. 손가락이나 애플펜슬로 필기가 가능하고, 메모장도 붙일 수 있습니다.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각 요소간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화살표도 다양하게 지원합니다.

프리폼에서 불러올 수 있는 파일 형식도 다양합니다. 사진, 비디오, 오디오, 문서, PDF, 웹사이트 링크 및 지도 위치 링크를 사용할 수 있고, 기본으로 제공하는 모양 툴도 700개 이상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 프리폼 속에 적어둔 내용에 주석도 달 수 있습니다.

가장 강력한 기능은 ‘협업’ 기능입니다. 프리폼은 최대 100명의 공동 작업자와 협업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동료 간 실시간으로 보드 공유가 가능하고, iCloud를 통해 맥북이나 아이폰으로 연동할 수도 있죠. 보드를 그리면서 공동 작업자와 영상통화(FaceTime)도 할 수 있습니다.

직접 해보니, 태평양 건너에서도 실시간 연동

프리폼 앱을 열고 신규 보드를 만들면 광활한 화이트보드가 펼쳐집니다. 손으로 그리는 메모 앱은 가로, 세로 크기를 정해두고 앱을 실행하지만, 프리폼은 상하좌우로 무한히 생각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보드에 정보를 넣을 수 있는 툴은 펜, 메모장, 도형, 글상자, 파일삽입 등 총 5가지입니다. 펜툴은 텍스트 쓰기, 글씨 쓰기, 색연필, 크레파스, 물감, 지우개, 선택툴로 나뉘어 있습니다. 점 세개가 찍힌 메뉴를 드래그해 원하는 위치해 펜툴을 위치시킬수도 있습니다.

메모장의 경우 텍스트를 넣을 수도 있고, 그 위에 펜으로 손글씨를 쓸수도 있습니다. 가장 편한 점은 메모장 ‘스타일’을 복사해 다른 메모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점 세개가 찍힌 메뉴를 누르면 메모장에 적용된 스타일(배경색, 글씨 크기 등)을 복사하고 다른 메모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 쓴 메모장은 ‘잠금’ 기능을 쓸수도 있습니다.

도형툴은 기본으로 제공하는 도형이 상당히 많습니다. 사각형, 둥근 사각형, 원 등 기본 도형은 손가락으로 둥글기 각도까지 쉽게 조절 가능합니다. 이밖에 기하학, 사물, 동물, 자연, 음식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도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도형툴에서 가장 많이 쓰일 것 같은 요소는 ‘선’인데요. 원, 화살표 등 여러 스타일을 지정할 수도 있고, 점선으로도 바꿀 수 있습니다. 각 요소를 이어주는 꺾인선도 그릴 수 있습니다.

다만 다양한 서체를 적용할 수 없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습니다. 기본 서체인 고딕체, 명조체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파일 삽입의 경우, 아직은 실시간 연동이 빠르게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기자는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지인과 함께 프리폼을 사용해봤는데요. 스티커, 도형, 펜 등 다른 툴은 상대방이 수정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그 내용이 보였지만, 사진은 ‘이미지 추가중’이라는 안내와 함께 로딩이 되지 않았습니다.

(사진=프리폼 화면 캡쳐)

한편, 프리폼은 작성한 보드를 PDF로 내보낼 수 있는데요. 페이지가 나뉘지 않고 한장으로 내보내집니다. 동영상의 경우 맨 처음 보이는 이미지 그대로 사진처럼 출력됐습니다.

김혜선 (hyese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