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여명 피해 입힌 가습기살균제…‘폐 손상 연관’ 정부 연구결과 나왔다

박준희 기자 2022. 12. 9.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경북대·안전성평가연구소 연구

코로 마신 가습기살균제 성분 폐까지 도달 입증

“폐 손상 연관 증거 없다는 법원 판단 재고돼야”

가습기살균제 성분인 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CMIT·MIT)을 호흡기를 통해 흡입하면 폐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도달해 상당 시간 체내에 남아 있게 된다는 정부 연구기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천 명의 피해자를 양산한 ‘가습기살균제 사건’ 관련 재판에도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경북대와 안전성평가연구소 연구진과 공동으로 지난해 4월부터 진행한 ‘가습기살균제 성분 체내 거동 평가 연구’ 결과를 8일 공개했다.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과학원은 호흡기에 노출된 CMIT·MIT가 폐에 도달해 폐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입증한 첫 연구라고 설명했다.

다른 가습기살균제 성분인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디닌)에 대해서는 이번 CMIT·MIT 연구 결과와 비슷한 국내연구 결과가 이미 나와 있다. 과학원은 또 다른 가습기살균제 성분인 4급 암모늄에 대해서도 체내 거동 평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연구는 CMIT·MIT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합성해 실험용 쥐의 비강(코)과 기도 등에 노출한 뒤 이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정량 전신 자가방사영상분석(QWBA)’ 결과를 보면 CMIT·MIT를 쥐의 비강에 노출하고 5분이 지난 시점에 폐와 간, 심장 등에서 CMIT·MIT가 확인됐다.

노출 후 30분이 지나도 폐에서 노출 후 5분이 지났을 때와 비슷한 수준의 CMIT·MIT가 나타났다. 다른 장기보다 비교적 농도가 낮으나 피부와 고환에서도 CMIT/MIT가 나타났다. 노출 후 6시간이 지난 후엔 폐의 CMIT·MIT 양이 감소하는 상황이 확인됐다. 다만 혈액의 방사능 농도가 높았는데 이는 “CMIT·MIT나 CMIT·MIT 대사물질이 전신을 순환해 다른 장기에 퍼져나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비강에 노출된 CMIT·MIT 상당량은 노출 48시간 후 체외로 배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노출 후 일주일(168시간)이 지난 시점에도 폐에서 CMIT·MIT가 일부 확인됐고 간·신장·심장 등 다른 장기에서도 낮은 농도의 방사능이 나왔다. 쥐의 코에 노출된 방사능량을 100으로 했을 때 노출 후 시간별로 폐에 분포한 양은 5분 후 0.42, 30분 후 0.48, 6시간 후 0.21, 48시간 후 0.06, 일주일 후 0.08로 나타났다.

이 물질을 기도에 노출했을 때도 결과는 비슷했다. 그러나 기도에 노출했을 땐 일주일 후 폐에 남아있는 방사능이 비강에 노출했을 때의 2.2배였다. 상기도를 거치지 않았기에 비강에 노출했을 때보다 방사능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일반적으로 가습기살균제 인체 노출은 장기간 반복적으로 이뤄지는데 이러한 누적 노출을 고려하면 실제 (사람의) 폐에 도달한 CMIT·MIT는 이번 실험 때 (비강 노출로) 측정된 양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연구진은 가정에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해 에어로졸 형태로 CMIT/MIT를 흡입했을 때 폐에 도달한 양은 이번 실험 비강 노출 결과보단 많고 기도 노출 결과보단 적은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연구진은 저명 국제학술지인 ‘국제환경’(Environment International)에 게재한 논문에서는 가습기살균제와 관련한 법원이 판단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해 1월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기소된 가습기살균제 회사 관련자들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CMIT·MIT 성분 가습기살균제가 폐 질환이나 천식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한 바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법원 판결을 직접 거론하며 “CMIT·MIT의 생물분포와 독성에 관한 이번 연구에서 얻은 결론에 비춰보면 이러한 판단은 재고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가습기살균제 관련 소송은 현재 서울고법에서 항소심이 진행 중이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지난 9월 27일 제31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에서 피해등급이 정해진 사람까지 총 4417명으로 파악됐다.

박준희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