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페이는 안전 결제 아닌 간편송금 서비스”…당근마켓 소비자 ‘먹튀’ 사기 주의 요망

이승구 2022. 12. 8. 10: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 타 중고거래 플랫폼의 ‘○○페이’처럼 안전결제로 오해
사기꾼들, 당근페이로 선입금 유도한 뒤 ‘먹튀’하는 일 자주 발생
당근마켓 제공
 
국내 대표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간편송금 서비스 ‘당근페이’를 악용한 ‘먹튀’ 사기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이는 소비자들이 당근페이를 ‘간편송금 서비스’가 아닌 다른 중고거래 플랫폼의 ‘○○페이’처럼 ‘안전결제(에스크로) 서비스’라고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를 악용한 사기꾼이 소비자에게 당근페이로 선입금을 유도한 뒤 돈만 받고 잠적하는 피해 사례도 인터넷에서 적잖게 찾아볼 수 있는 실정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도에 사는 A씨는 지난 4일 당근마켓에서 10만원짜리 백화점 모바일 상품권을 9만원에 판매한다는 글을 보고 상품권 6장을 50만원에 구매하기로 하고 판매자 B씨에게 당근페이로 금액을 송금했다가 먹튀를 당했다. 

B씨는 “추석에 선물로 받았는데 여행자금 마련을 위해 처분하려고 한다”며 A씨에게 “당근페이로 거래하자”라고 제안했다. 이에 A씨는 당근페이로 B씨에게 돈을 보냈다. 

사기범이 올린 판매글(왼쪽)과 제보자와 나눈 대화(오른쪽). 제보자 제공. 연합뉴스
 
하지만 A씨가 송금하자마자 해당 게시글은 삭제됐고, B씨는 상품권을 보내주지 않고 돈만 받은 뒤 연락 두절이 됐다. 

A씨는 그제야 ‘당근페이’가 안전결제 서비스가 아닌 간편송금 서비스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는 당근페이가 중고나라의 ‘중고나라페이’나 번개장터의 ‘번개페이’ 등 다른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쓰이는 안전결제 서비스와 비슷하리라고 오해한 것이다.

A씨는 “번개장터나 중고나라에서처럼 구매자가 송금한 뒤 물건을 받고 구매를 확정해야 금액이 판매자에게 입금되는 시스템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면서 “구매자가 송금하면 바로 판매자에게 돈이 입금되고 판매자가 환불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환불받을 수 없는 구조였다”라고 말했다. 

B씨는 한 시간 뒤 거주 지역만 바꿔 당근마켓에 똑같은 판매글을 올리고 또다시 사기행각을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주말이라 당근페이 고객센터도 운영되지 않아 곧바로 대처할 방법이 없었다”면서 “경찰에 신고하려면 이체 확인증이 필요한데 당근페이로 거래한 경우 이를 발급받는 절차가 은행보다 훨씬 복잡하고 까다로웠다”라고 토로했다. 

당근페이로 선입금을 유도하는 수법의 피해 사례를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연합뉴스
 
당근마켓이 지난 2월 선보인 당근페이는 이용자들의 거래 편의를 위한 간편송금 서비스다. 구매자가 결제한 금액을 중고거래 플랫폼이 보관하고 있다가 구매자가 상품 수령 후 구매 확정을 눌러야 판매자에게 송금이 되도록 하는 안전결제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하지만 다른 유명 중고 거래 플랫폼들에서는 ‘○○페이’라는 이름으로 안전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당근페이를 안전결제 서비스로 오인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또 이를 악용한 판매자가 당근페이로 선입금을 유도한 뒤 돈만 받고 잠적했다는 피해 사례도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당근마켓 관계자는 “당근페이는 수수료 없이 중고 거래를 할 수 있는 간편 송금 서비스로 안전결제(에스크로)와는 기술적으로 다른 유형의 서비스”라며 “대면 거래가 대부분인 당근마켓의 직거래 상황에서 당근페이를 이용하면 현금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라고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안전결제 서비스 역시 이를 가장한 외부 링크로 유도하는 사기 행각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사기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에 당근페이는 채팅창에서만 송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송금 화면에서 송금 관련 주의사항을 안내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중고거래 사기는 대부분 비대면 거래에서 발생하는 만큼 대면 거래를 권장하고 있으며, 선입금 요구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사기 피해 예방과 대응을 위해 경찰과 공조는 물론, 서비스 고도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