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IoT' 기술로 진화하는 아파트 주목…인덕원 자이 SK 뷰 선착순 분양 중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2022. 10. 31. 12: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홈(smart home)이 각광받고 있다.

실제로 올해 3월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발표한 '부동산 트렌드 2022'에 따르면, 서울·경기·부산·창원 등 각지의 20~69세 가구주 및 배우자 1,344명을 면접조사한 결과 10가지로 세분화 한 주거 특화 유형 가운데 전 연령대를 통틀어 '스마트 홈 시스템(외부에서 조명, 가스 제어, 음성인식 등)을 적용한 스마트 주택'(37%)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홈(smart home)이 각광받고 있다.

실제로 올해 3월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발표한 '부동산 트렌드 2022'에 따르면, 서울·경기·부산·창원 등 각지의 20~69세 가구주 및 배우자 1,344명을 면접조사한 결과 10가지로 세분화 한 주거 특화 유형 가운데 전 연령대를 통틀어 ‘스마트 홈 시스템(외부에서 조명, 가스 제어, 음성인식 등)을 적용한 스마트 주택’(37%)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과거에는 외관 디자인, 커뮤니티시설, 조경시설 같은 하드웨어가 아파트의 가치를 결정했다면 현재에는 더 나아가 첨단 기술, 보안 시스템 등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업계의 분석이다.

불과 몇 년 전 까지만해도 아파트는 홈 네트워크가 실내에 설치돼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검침이나 방범녹화, 대기전력차단, CCTV 확인 등만 가능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 도입된 홈 IoT는 기본적인 홈 네트워크 외에 방범·에너지관리 등 기능을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밖에서도 조명과 가스, 도어록, 난방 및 환기 등 집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등 편의성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스마트홈 시장 규모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가 발표한 ‘2020 스마트 홈 산업현황’ 자료를 보면 국내 스마트 홈 시장 규모는 2019년 70조 9698억원에서 2020년 78조 2837억원까지 성장했으며, 오는 2023년에는 100조원 이상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일대에 들어서는 ‘인덕원 자이 SK VIEW(뷰)’가 현재 선착순 분양중에 있다. 인덕원 자이 SK 뷰는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짓는 2,633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다.

단지는 자이 앱 솔루션을 통해 집 밖에서도 전등, 난방, 가스 등을 통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날씨 등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보완성을 강화한 고화질 CCTV와 최하층 1,2층(필로티 제외) 세대 적외선감지기 설치, 차량번호인식 주차관제시스템, 엘리베이터 방범 핸드레일(아파트 주동) 등으로 보안도 강화했다.

커뮤니티 및 조경 디자인도 호평받고 있다. 주변 경관과 입지 특성을 고려해 외관을 돋보이게 디자인하고, 단지 내부에는 주차장을 지하에 배치하는 대신 지상공간에는 녹지‧휴식공간이 어우러진 테마정원과 어린이놀이터 등을 단지 곳곳에 마련했다.

한편 견본주택은 인덕원 자이 SK 뷰 현장 주변인 내손동 일대에 마련돼 있으며, 입주는 2025년 5월 예정이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