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하락 또 하락..전국 23주 서울 20주 연속 내려

김희수 2022. 10. 13. 14: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예고된 금리인상에 아파트값이 끝없이 내리고 있다.

특히, 파주(-0.44%)는 운정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락거래가 계속돼 지난달 26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규제완화 이후 오히려 2주 연속으로 하락률(-0.26%→-0.36%→-0.44%)이 증가했다.

지난달 26일부터 투기과열지구에서 제외된 인천 연수구(-0.43%)와 세종(-0.45%)은 규제완화 직후 하락률을 소폭 줄였으나 이번주에는 규제완화 이전보다 낙폭이 커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 -0.23%
서울 -0.22%, 경기 -0.30%, 지방 -0.17%

지난 10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화상

[파이낸셜뉴스] 예고된 금리인상에 아파트값이 끝없이 내리고 있다. 지난달 국토교통부 주거정책심의위원회에서 있은 규제지역 해제도 약발이 먹히지 않는 모양새다. 시장에서는 금리인상이 지배적인 변수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규제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둘째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주 대비 0.23% 하락했다. 지난 5월 둘째주 이후 23주 연속 하락세다. 특히, 2012년 5월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 하락률로 지난달 셋째주부터 4주 연속으로 최대 하락률을 갱신 또는 유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주 대비 0.22% 떨어졌다. 지난 2012년 8월 넷째주(-0.22%) 이후 10년 2개월 만에 최대 하락률이자 20주 연속 내림세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는 노원·도봉구(-0.40%)의 낙폭이 가장 컸다. 노원구는 상계·중계·월계동 위주로, 도봉구는 도봉·창동 구축을 중심으로 크게 내렸다. 뒤이어 송파구(-0.31%)가 잠실·송파·문정동 대단지에서 하락거래가 발생하며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값에 대해 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매물가격 하향 조정이 진행 중"이라며 "추가 금리인상과 부동산 경기 하락 우려로 매수문의가 감소한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급매물 위주의 하락거래 발생하며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인천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38%을 기록해 지난주(-0.31%) 대비 하락률이 커졌다. 서구(-0.45%)에서 가정·마전동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경기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지난주(-0.26%)보다 하락률을 키워 -0.30%로 나타났다. 수원 영통구(-0.79%)가 입주물량이 많은 망포·매탄동에서 크게 하락했다. 전국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가운데 가장 큰 낙폭이다. 이어서 성남 수정구(-0.70%)는 창곡·태평동에서, 성남 중원구(-0.50%)는 금광·상대원동 위주로 많이 내렸다. 특히, 파주(-0.44%)는 운정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락거래가 계속돼 지난달 26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규제완화 이후 오히려 2주 연속으로 하락률(-0.26%→-0.36%→-0.44%)이 증가했다.

지난달 26일부터 투기과열지구에서 제외된 인천 연수구(-0.43%)와 세종(-0.45%)은 규제완화 직후 하락률을 소폭 줄였으나 이번주에는 규제완화 이전보다 낙폭이 커졌다. 인천 연수구(-0.38%→-0.35%→-0.43%)는 송도신도시에서 강한 하락세가 나타났다. 세종(-0.40%→-0.39%→-0.45%)은 매물이 쌓이면서 새롬·중촌동 위주로 내림세를 키웠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17%로 지난주(-0.15%)보다 하락폭이 늘어났다. 대전(-0.31%)의 하락률이 가장 큰 가운데 대구(-0.26%)와 부산(-0.20%)이 뒤를 이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현재는 금리가 가장 큰 변수"라며 "금융당국에서 당분간 금리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신호를 주고 있는 만큼 부동산 시장의 빙하기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규제완화도 무력한 상황"이라며 "지난달 인천 연수구와 세종처럼 투기과열지구만 해제하고 조정대상지역은 유지하는 소극적인 규제완화보다는, 조정대상지역 해제까지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