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악 사고 32% 가을철 발생.."무리한 산행 피해야"

김솔 2022. 9. 30. 09: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을철 맑고 선선한 날씨에 등산객이 늘면서 산악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30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올해 집계된 도내 산악 사고는 총 1천871건으로, 이달 들어서만 222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매년 가을철에는 봄철과 더불어 등산객이 크게 늘면서 산악사고가 빈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 지난해 도내에서 집계된 산악사고 2천428건 중 32.6%(793건)가 9∼11월 가을철에 발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정 등산로 이용하고 기상특보 시 산행 중단해야

(수원=연합뉴스) 김솔 기자 = 가을철 맑고 선선한 날씨에 등산객이 늘면서 산악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산악 사고(CG) [연합뉴스TV 제공]

30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올해 집계된 도내 산악 사고는 총 1천871건으로, 이달 들어서만 222건이 발생했다.

지난 13일 오전 9시 38분께 하남시 하산곡동 검단산에서 산행하던 50대 남성이 쓰러져 숨지는 사고가 났다.

발견 당시 심정지 상태였던 이 남성은 소방헬기로 인근 병원에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했다.

지난 10일 오전 9시 57분께 용인시 처인구의 한 캠핑장 근처에서는 하산하던 60대 남성이 좌측 발목을 다쳤다.

부상으로 거동이 어려웠던 이 남성은 소방대원들의 응급처치를 받은 뒤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처럼 매년 가을철에는 봄철과 더불어 등산객이 크게 늘면서 산악사고가 빈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 지난해 도내에서 집계된 산악사고 2천428건 중 32.6%(793건)가 9∼11월 가을철에 발생했다.

주된 사고 유형은 일반 조난, 실족 추락, 벌 쏘임, 암벽 등반 사고 등이다.

도 소방재난본부는 안전하게 등산을 즐기기 위해서는 등산 전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하고 지정된 등산로만을 이용하며, 폭우 등 기상특보 시 산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일몰 전 하산할 수 있도록 시간 계획을 세우고, 등산 중 사고를 당했을 경우 119에 신속히 신고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신고 시 휴대전화 GPS를 켜놓으면 119구조대가 신고자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하산할 때 일정 수준의 체력이 남을 수 있도록 안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체력에 맞지 않는 무리한 코스는 피하고, 평소 등산할 때는 유사 시를 대비해 얇은 옷과 비상 간식 등을 챙겨 다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so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