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열린 '전쟁포로·실종자 인식의 날'.. 北은 '싱가포르 합의' 이행 안해

허고운 기자 2022. 9. 18.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이드 국방장관 "실종 미군 집으로 데려오는 일 멈추지 않을 것"
북한서 사망·실종된 미군 4000명 이상.."인도주의 협력은 해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방부 청사에서 '전쟁포로·실종자 인식의 날' 기념식에서 발언하고 있다.(미 국방부 제공)ⓒ News1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미국 정부가 16일(현지시간) 한국전쟁(6·25전쟁) 등 해외 전쟁에서 포로가 되거나 실종된 미군들의 희생을 기리는 행사를 거행했다.

6·25전쟁에서 실종돼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군도 7000명이 넘고 이들 중 상당수는 북한 지역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북한은 2018년 약속한 '싱가포르 유해 발굴 합의' 이행을 중단한 상황이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이날 미 워싱턴DC 인근 청사에서 열린 '전쟁포로·실종자(POW/MIA) 실종자 인식의 날' 기념식에 참석, "우린 매년 이날 포로로 잡혔던 미군 장병들을 기리고 실종 미군과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군의 가족들과 함께하며 실종된 우리 영웅들을 집으로 데려오겠다는 약속을 이어가기 위해 모인다"고 말했다.

미국은 1979년 지미 카터 당시 대통령이 매년 9월 셋째 주 금요일을 '전쟁포로·실종자 인식의 날'로 지정하는 포고문에 서명한 이후 매년 이날을 기리는 행사를 전역에서 열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올해 9월16일을 '전쟁포로·실종자 인식의 날'로 선포했다.

오스틴 장관은 기념식에서 "8만1000명 이상의 미군과 민간인들이 여전히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며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은 그중 거의 절반의 유해가 수습될 수 있다고 얘기한다. 이는 막대한 임무"라고 밝혔다.

그는 "이는 신성한 의무"라며 "임무 수행 중 실종된 미군에 대한 신원 확인 작업을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할 것임을 엄숙하게 약속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우린 그들을 절대 잊지 않을 것이고 희망을 버리지도 않을 것"이라며 "실종된 미군들을 찾고 이들을 집으로 데려오기 위한 일을 절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6일(현지시간) 미 하와이 호놀룰루 국립묘지에서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주관으로 '전쟁포로·실종자 인식의 날' 기념 행사가 열리고 있다.(미 국방부 제공)ⓒ News1

이날 미 하와이 호놀룰루의 국립묘지에서도 '전쟁포로·실종자 인식의 날' 기념식이 열렸다. 펀 섬터 윈부시 DPAA 수석부국장은 기념식에서 한미가 작년에 6·25전쟁 전사자 유해를 처음으로 상호 인수한 일을 언급하며 이를 "중요한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주한미군도 각 부대 차원에서 저마다 전쟁포로와 실종자를 기억하는 행사를 열었다. DPAA에 따르면 6·25전쟁에서 실종돼 여전히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군은 7527명에 달한다. 현재까지 신원이 확인된 미군 전사자는 630명에 불과하다.

주한미군 소식통은 "북한에서 사망·실종된 미군은 약 5300명인데 아직도 4000구 이상의 유해가 북한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한과는 유해 인도를 위한 협력을 계속해 왔으나 최근엔 이렇다 할 일들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미국은 1982년부터 지금까지 북한에서 발굴된 미군 유해 600여구를 송환받았다. 1996년 7월부터 2005년 5월까진 북한에서 유해 공동 발굴 작업을 총 33차례 실시하기도 했다.

2018년 6월12일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정상회담에서 도출된 합의문엔 '미국과 북한은 이미 확인된 유해의 즉각적인 송환을 포함해 전쟁포로·실종자 유해를 송환과 발굴'에 관한 내용이 포함됐다.

이후 북한은 미국 측에 '조건 없이' 유해 55상자를 송환했고, 여기서 현재까지 미군 전사자 80여명의 신원이 확인됐다. 2018년 6월 이후엔 북미 간 비핵화 협상과 별개로 DPAA와 북한군이 대면회의를 진행하는 등 앞으로도 미군 유해 송환·발굴이 이어질 것이란 기대가 커지기도 했다.

미국은 유해 발굴·송환 등 인도주의 노력이 북미 간은 물론 북한과 국제사회 간 신뢰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1985년부터 10년 동안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송환에 협력한 베트남이 이후 미국과 신뢰를 구축하고 경제제재 해제와 관계 정상화를 이뤄낸 모델을 북한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2019년 2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노딜'로 끝난 뒤 북한 측은 DPAA와의 소통을 중단했다. DPAA는 언제라도 북한과 협상을 시작할 기회를 대비한다는 입장이지만, 북한이 당장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는 전문가는 많지 않다.

군 소식통은 "북한은 최근 핵 선제 공격 조건까지 명시한 핵무력 정책을 선포할 정도로 공세적으로 나오고 있다"며 "미국은 한국과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를 4년8개월만에 재가동해 '압도적·결정적 대응' 메시지를 낸 만큼 북미 협상을 기대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북한에 제안한 '담대한 계획'을 미 측도 지지하고 있으며,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보인다면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상응조치가 있을 것"이라며 "미 측은 당장 비핵화 조치가 없더라도 인도주의적 협력은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이는 우리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