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힌남노' 경로 어떻게 되나

남효정 2022. 9. 5. 18: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시뉴스] ◀ 앵커 ▶

태풍 힌남노에 대해서 지금 계속해서 짚어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사회팀 남효정 기자와 태풍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 다시 한번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태풍 경로를 다시 한번 말씀해주실까요?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 지금?

◀ 기자 ▶

지금까지 발표된 거는 오후4시 기준인데요.

힌남노는 오늘 오후 4시에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에 약 240km 해상을 시속 28km의 속도로 지났습니다.

오후 3시 때에는 시속 33km였고요.

저희가 오전부터 계속 특보를 전해드렸는데 그때보다 태풍의 이동 속도가 더 빨라졌습니다.

힌남노는 오늘 밤 9시쯤에는 제주 서귀포시 남쪽으로 90km 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상이 되고요.

내일 새벽 3시쯤에는 부산 남서쪽 해상 190km까지 근접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태풍의 예상 상륙 시간도 1시간 정도 당겨졌다고 밝혔는데요.

내일 새벽 5, 6시쯤에 경남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태풍의 경로가 어떻게 될 건지 관건일 텐데 태풍의 영향권에 드는 곳이 한반도 어느 지역인가요?

◀ 기자 ▶

힌남노는 중심 기압이 935헥토파스칼의 매우 강한 태풍인데요.

힌남노는 경남 전 지역과 경북 대부분 지역을 지나서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전라도와 강원도도 태풍의 영향권 안에 들고요.

하지만 예측 경로보다 서쪽으로 올라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지금 예측으로는 수도권 북서부 일부는 강풍 지역에서 살짝 벗어날 것으로 보이고 있지만 태풍이 좀 더 서쪽으로 진행을 한다면 강풍 영향의 지역이 훨씬 더 넓어질 수 있겠죠.

현재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남, 경남 서부 해안, 서해, 남해 먼바다 등에 태풍특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또 수도권과 강원 중북부, 충남 북부에는 호우특보가 발효됐습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내일까지 최고 300mm, 제주 산지에는 최대 600mm의 폭우가 예상됩니다.

◀ 앵커 ▶

태풍 경로 쭉 지켜보시면서 피해 없도록 단단히 대비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태풍이 가까워지면서 시청자분들께서 현재 상황을 촬영한 제보 영상 많이 보내고 계신데 저희가 아까도 짚어봤지만 남효정 기자 다시 한번 짚어볼까요?

◀ 기자 ▶

그렇습니다.

현재 힌남노가 가장 가까운 곳이 제주잖아요.

그래서 주택과 상가에 침수 피해가 신고된 것만 11건, 차량 침수도 신고된 것만 1건이고요.

제주도에서 그래서 태풍 위력을 보여주는 영상들을 많이 보내주고 계십니다.

이 영상은 제주 서귀포 남원읍에 있는 올레길 해안 모습인데요.

거센 바람에 파도가 밀려오더니 방파제를 덮쳐버리죠.

◀ 앵커 ▶

순식간에 높아지네요.

◀ 기자 ▶

그렇습니다.

그래서 조심하셔야겠고요.

방파제 쪽으로는 절대 가시면 안 되겠습니다.

◀ 앵커 ▶

다음 영상을 또 보시죠.

◀ 기자 ▶

그리고 지금 보시는 영상은 지도를 보실 때는 제주도의 왼쪽 아래에 있는 서귀포시 대정읍에 있는 해수욕의 모습인데요.

이곳에서도 빠르게 들이치는 파도가보이고 있습니다.

여기도 흙탕물이 이렇게 섞여 있는모습이 보이실 겁니다.

지금 이 영상은 대정읍보다 조금 더 오른쪽 그러니까 제주도 중간 아래쪽에 있는 서귀포시 토평동 일대의바다인데요.

오늘 아침 8시 반쯤에 찍힌 영상인데 이 역시 강한 파도가 보이고 있습니다.

◀ 앵커 ▶

이렇게 제보 영상까지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사회팀 남효정 기자와 태풍 힌남노에 대한 더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남효정 기자 (hjhj@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1700/article/6405040_35729.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