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때 전 안부쳐도 돼, 음식 9가지면 충분"..'차례상 표준안' 발표

이윤정 2022. 9. 5.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교가 조선왕조 500년에는 막강한 힘을 갖고 '관혼상제' 등 문화를 주도해 왔지만 옛것만 지키고 형식만 지나치게 강조한 측면이 있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 하지 않으면 못하겠다는 생각에 간소화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하게 됐다."

유교 전통문화를 보존해온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명절을 앞두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첫 공식 발표
"지진 음식 안올려도 된다..상황 맞게 지내야"
국민 40% '간소화' 개선점으로 꼽아
최영갑 회장 "실질적 차례 지내는 출발점 되길"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유교가 조선왕조 500년에는 막강한 힘을 갖고 ‘관혼상제’ 등 문화를 주도해 왔지만 옛것만 지키고 형식만 지나치게 강조한 측면이 있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 하지 않으면 못하겠다는 생각에 간소화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하게 됐다.”

명절만 되면 빠지지 않는 단어가 ‘명절증후군’과 ‘남녀차별’이다. 심지어 명절 후에는 이혼율이 증가하기도 한다. 그 중심에는 차례상이 있다. 몇 시간씩 앉아서 전을 부치고 상차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아내와 남편의 갈등이 불거졌던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명절 때 가족들과 합의하면 전을 부치지 않아도 된다. 음식 가짓수는 최대 9개면 족하다. 유교 전통문화를 보존해온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명절을 앞두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유교에서 ‘차례상 표준안’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영갑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가운데)이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한 후 간소화 방안대로 차린 차례상을 지켜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차례상 표준안’ 발표가 가정의례와 관련해 경제적 부담은 물론 남녀갈등, 세대갈등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차례를 지내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차례상 간소화 방안에 따르면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을 놓아도 된다. 이렇게 상차림을 하도록 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최 위원장은 설명했다. 성균관 측은 “예의 근본정신을 다룬 유학 경전 ‘예기’의 ‘악기’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해야 한다(대례필간)”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밀과와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를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명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 위원장은 “각자 사는 고향, 환경을 반영해서 음식을 올리는게 가장 시의적절한 우리의 예법”이라고 강조했다.

‘차례상 표준안’ 간소화 방안대로 차린 9가지 음식의 차례상(사진=연합뉴스).
성균관에 따르면 그간 차례상을 바르게 차리는 예법처럼 여겨왔던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 관련 옛 문헌에는 없는 표현이다. 상을 차릴 때는 음식을 편하게 놓으면 된다.

최 위원장은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받거나 가족 사이의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라며 “차례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었던 국민들이 조금이라도 마음의 부담을 내려놓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표준안은 ‘차례 관련 국민 인식조사’ 설문조사 결과와 예법 등을 두루 고려해 마련됐다. 성균관 측이 지난 7월 28∼31일 20세 이상 일반 국민 1000명과 유림 700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일반 국민(40.7%)과 유림 관계자(41.8%) 모두 차례를 지낼 때 가장 개선돼야 할 점으로 차례상 ‘간소화’를 꼽았다.

차례를 지낼 때 사용하는 음식의 적당한 가짓수를 묻는 질문에는 ‘5~10개’(49.8%)가 적당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적당한 차례 비용을 묻는 질문에는 37.1%의 응답자가 ‘10만원대’가 가장 적절하다고 답했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차례 간소화 기자회견’을 갖고 간소화 된 차례상 예시를 발표했다(사진=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이윤정 (younsim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