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전국이 태풍 영향권, 300mm 폭우에 차도 뒤집는 강풍까지

김기범 기자 2022. 9. 4. 11: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풍 힌남노의 예상 경로. 기상청 제공.

월요일인 5일 전국이 ‘역대 최강’ 태풍으로 불리는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의 영향권에 들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기상청은 4일 오전 3시 현재 태풍 힌남노는 타이완 타이베이 동쪽 약 310㎞ 부근 해상에서 11㎞/h의 속도로 느리게 북상 중이라고 이날 밝혔다. 태풍은 이날 밤 일본 오키나와 서쪽 해상을 지나 북상, 월요일인 5일과 6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이 태풍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힌남노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돌가시나무 새싹’이란 뜻이다. 라오스 캄무안주에 있는 국립보호구역의 이름이기도 하다.

기상청은 태풍 예비특보를 3일 제주에 이어 4일 오전 광주, 전남, 부산, 대구, 울산, 전북, 경남 지역에도 발표했다. 태풍 특보는 4일 오후 제주도 남쪽 바깥 먼바다에, 5일은 제주도와 남부지방, 그밖의 남해상, 서해 남부 해상, 동해 남부 해상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6일에는 그밖의 지역에도 태풍특보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태풍이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시기와 위치는 6일 새벽에는 제주도, 6일 아침부터 오전 사이에는 경남권 해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태풍의 진로와 이동속도에 따라 매우 유동적인 상황이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 중인 가운데 4일 전남 여수 국동항에 어선들이 피항해 있다. 연합뉴스.

4일 현재 제주, 남해안에는 강풍특보가 발효 중으로, 바람이 35~60㎞/h(10~16m/s), 순간풍속 70㎞/h(20m/s) 이상으로 매우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다. 그밖의 지역에도 순간풍속 55㎞/h(15m/s) 이상으로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다.

태풍의 영향으로 5일과 6일 제주도와 전남 남해안, 경남권 해안, 울릉도·독도는 최대순간풍속이 145~215㎞/h(40~60m/s) 안팎에 달하겠다.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 전남 서해안은 110~145㎞/h(30~40m/s) 안팎, 그밖의 남부지방과 충청권은 70~110㎞/h(20~30m/s) 안팎, 수도권과 강원 영서는 55㎞/h(15m/s) 이상으로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다.

초속 50~60m 바람은 사람은 물론 달리는 자동차를 뒤집을 정도의 위력이다. 사람은 초속 15m 이상의 바람만 불어도 제대로 걷기가 어렵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접근하는 가운데 3일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서 우산을 쓴 남성이 강한 바람을 맞으며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상청은 4일 수도권과 제주도, 남해안에는 시간당 20~30㎜ 안팎의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고 예보했다. 5일과 6일은 태풍의 영향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 매우 많은 비가 내리겠다.

특히 내일은 수도권과 강원 영서 중·북부, 충남권 북부에, 모레는 그밖의 전국(제주도는 내일부터)에 시간당 50~100㎜의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예상 강수량은 전국에 100~300㎜가량이다. 제주도 산지는 600㎜ 이상의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고, 산지를 제외한 제주도, 남해안, 경상권 동해안, 지리산 부근, 울릉도·독도에도 400㎜ 이상의 비가 내리겠다.

4일 현재 제주도 해상과 서해 남부 먼바다, 남해상, 동해 남부 해상에는 풍랑특보가 발효중으로 물결이 2.0~6.0m(제주도 남쪽 먼바다 최대 8.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제주도 해상과 남해상은 오늘부터, 서해 남부 남쪽 먼바다는 5일부터, 동해상은 6일부터 바람이 50~160㎞/h(14~45m/s)로 더욱 강하게 불고, 물결이 3.0~8.0m 이상(내일 최대 10.0m 이상)으로 더욱 높게 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태풍이 차차 접근하면서 기상조와 높은 파고가 더해짐에 따라 4일부터 제주도 해안, 5일부터 남해안과 서해 남부 해안, 6일에는 동해안 등에서 너울과 함께 매우 높은 파도가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겠다고 예보했다. 특히 만조 시간대에는 해수면 높이가 더욱 높아져 해안가 저지대를 중심으로 침수 가능성도 있다. 기상조란 태풍 또는 저기압이 통과할 때 해수면이 상승하는 현상으로, 기압이 낮을수록 해수면은 더욱 상승한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