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처서엔 모기 입이 진짜 비뚤어질까 [다시 보는 24절기]

2022. 8. 23.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처서(處暑)인 23일은 말 그대로 '더위가 멈춘다(물러난다)'라는 의미다.

옷 속까지 파고들던 극성스러운 모기도 이맘때쯤이면 맥을 못 춘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비뚤어진다'라는 속담도 날씨가 서늘해지면서 활동을 줄이는 모기의 습성을 희화화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 집 텃밭 모기들은 처서가 지났음에도 기운이 쇠잔해지기는커녕 밤낮으로 독침(?)을 쏘아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선한 날씨로 맥 못 추는 모기 습성 희화화
모기 없는 날? 평균기온 20도 이하 떨어져야
농사 망치는 '처서비' 농부들 가장 두려워해 
영상제작 이운자

처서(處暑)인 23일은 말 그대로 ‘더위가 멈춘다(물러난다)’라는 의미다. 24절기 중 14번째 절기인 처서 땐 한여름 뜨거운 열기가 가시고 선선한 기운이 감돌아 가을이 왔음을 느끼게 한다. 식물들도 겨울 준비를 위해 생육을 멈추고 누런빛을 띠며 시들어 간다.

옷 속까지 파고들던 극성스러운 모기도 이맘때쯤이면 맥을 못 춘다. 매년 4~5월 출몰하는 우리나라 모기는 7월부터 증가해 8월 최고 정점을 찍은 후 9월 하순께 거의 사라진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비뚤어진다’라는 속담도 날씨가 서늘해지면서 활동을 줄이는 모기의 습성을 희화화한 것이다. “추운 곳에서 자면 입이 비뚤어진다(또는 돌아간다)”라는 관용적 표현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 집 텃밭 모기들은 처서가 지났음에도 기운이 쇠잔해지기는커녕 밤낮으로 독침(?)을 쏘아댄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올여름 27도 이상의 높은 기온이 지속되면서 모기의 기승은 9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란을 앞두고 생명의 위협을 무릅쓴 암컷 모기의 무차별적 공격은 지독한 가려움과 함께 온밤을 하얗게 지새우게 한다.

같은 장소, 한 공간에서도 유독 모기에 잘 물리는 사람이 있다. 왜 그러는 걸까. 흔히 모기가 좋아하는 혈액형은 ‘O형’이라는 말과 체온이 높고 체취가 강한 경우 접근이 더 높다고 한다. 사실일까?

정답은 모기가 좋아하는 혈액형은 ‘없다’이다. 다만 신진대사가 활발하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많고 높은 체온과 땀 등 체취가 강한 경우 모기에 물릴 확률이 높다. 노인보다는 젊고 어린아이, 몸집이 큰 어른, 그리고 임산부 등이 잘 물리는 이유다. 후각기관이 잘 발달한 모기는 이산화탄소는 10m, 젖산 냄새는 20m 밖에서도 맡을 수 있다. 또 밝은 곳보다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모기는 검정 등 짙은 색의 옷을 착용할 때 더 잘 문다고 한다.

무엇보다 모기의 습격에서 벗어나려면 하루 평균기온이 20도 미만을 유지해야 한다니 장롱 속으로의 모기장 철수 계획은 당분간 접어야 할 듯싶다.

그 난리 통(?)에도 오이와 가지, 고추는 알찬 결실과 함께 하루가 다르게 쑥쑥 커간다. 오이, 가지 등 작물과 달리 처서가 지나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은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한여름 미뤄뒀던 정원이나 논 주변의 잡초 제거, 그리고 조상 묘 벌초 작업을 이때쯤 하는 이유다. 잡초 제거가 끝나면 올겨울 김장을 위해 배추, 무, 갓 등을 파종한다. 너무 일찍 심으면 늦더위로 진딧물 등의 병충해 발생에 따른 수고로움이 따른다.

하지만 무엇보다 농민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처서 날씨다. 배추, 무 등을 파종한 이후 비가 내리면 땅이 굳어져 공기 유통을 방해해 뿌리 활착이 어려워져 농사를 망치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에 쌀이 준다’, ‘처서에 비가 오면 천 가지 곡식이 해롭다’ 등 부정적인 속담이 많은 건 이 때문이다.

농부들의 마음에 피멍이 든다는 처서비(處暑雨)는 올해도 이어질까. 평균적으로 처서에 비가 내리지 않은 날은 손을 꼽을 정도라고 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처서인 23일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서울·인천·경기북부엔 새벽, 경기남부와 강원영서 중남부·강원영동·충청권에는 오전 한때 비가 내리겠다. 강원남부와 충청권 남부는 오후에 시작된 비가 자정까지 이어지겠다.

yiha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