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뉴스]최악 가뭄에 강물 마르자 찾아 온 뜻밖의 선물..7천년 전 고인돌 등

황혜진 기자 2022. 8. 21. 14: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쓰촨성 충칭치 양쯔강 유역에서 모습을 드러낸 불상. 로이터연합뉴스
양쯔강에서 발견된 불상. 로이터 연합뉴스
스페인 서부 카세레스주 발데카나스 저수지에서 모습을 드러낸 과달페랄의 고인돌. 로이터연합뉴스
과달페랄의 고인돌. AP뉴시스
받침대가 드러난 중국의 러산대불. 중국신문망 유튜브 채널 캡처

스페인 7천년 전 고인돌 모습 드러내

중국 양쯔강에서는 불상 발견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유럽과 중국에서 강과 저수지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문화재급 유물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

21일 일간 가디언,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스페인 서부 카세레스주 발데카나스 저수지에서는 이달 초 수백개의 선사시대 돌기둥이 신비한 자태를 드러냈다. 스페인판 스톤헨지, 공식적으론 ‘과달페랄의 고인돌’(Dolmen of Guadalperal)로 불리는 이 유적은 이베리아반도의 건조한 날씨로 저수기 수위가 총량의 28%까지 내려가자 저수지 한쪽에서 그 모습을 완전히 노출했다.

7000년 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물은 1926년 독일 고고학자가 최초로 발견했으나 1963년 프랑코 독재정권 치하에서 농촌 개발 프로젝트로 댐이 만들어지면서 침수됐다. 그 후로 고인돌이 모습을 드러낸 것은 4번밖에 되지 않았다.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지역에서는 올봄부터 기원후 69∼79년에 건설된 로마의 요새가 다시 보이기 시작했다. 저수지가 조성되면서 1949년에 물 아래로 잠겼던 이 유적은 현재 2만4000㎡ 규모의 면적 전체가 드러난 상태다.

이와 함께 이곳에선 30년 전 저수지 건설로 수몰된 아세레도 마을이 옛 모습을 드러내 관광객을 끌고 있다. 엘베강이 흐르는 체코 북부 데친에서는 ‘기근석’(hunger stones)이 등장했다. 강바닥이 보일 정도로 강물이 메마를 때 사람들이 이 기근석을 찾아 날짜와 자신들의 이름을 새겼다. 데친의 기근석 위에 새겨진 연도를 보면 1417년과 1473년은 아주 희미하게 남아있지만 1616년, 1707년, 1893년 등은 아직도 분명하게 보인다. 독일에서도 라인강이 흐르는 프랑크푸르트 남쪽의 보름스와 레버쿠젠 근처의 라인도르프 등지에서 기근석이 모습을 다시 나타냈다.

이탈리아에서는 포강의 수위가 7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북서부 피에몬테에서 고대마을의 유적이 나타났다. 또 롬바르디아 오글리오강에서는 청동기 시절 목재 건축물 토대가 나왔고 인근 코모호수 바닥에선 10만 년 전의 사슴 해골과 하이에나, 사자, 코뿔소의 잔해가 발견됐다.로마 티베르강에서는 네로 황제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다리 유적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 다리는 네로 황제가 강 건너편에 있는 자신의 모친 아그리피나의 저택에 편하게 가려고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중국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불상 등이 발견됐다.

중국신문망 등에 따르면 쓰촨성 러산시 양쯔강 상류 민장강, 칭이강, 다두강이 합쳐지는 지점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러산대불의 받침대가 모습을 드러냈다. 러산대불은 평소에는 강 수위가 높아 받침대를 볼 수 없으며 비가 많이 올 때는 발까지 물에 잠기기도 한다. 러산대불이 자리 잡은 지역의 현재 수위는 평년보다 2m 이상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링윈(凌雲)대불이라고도 불리는 러산대불은 당나라 시기 민강(岷江) 옆 높은 절벽을 깎아 만들었다. 높이가 71m에 달하는 중국 최대 석불이다. 또한 불교 성지로 유명한 높이 3000여m의 어메이산(峨眉山)과 한 데 묶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신문은 “받침대까지 드러난 러산대불의 전체 모습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러산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양쯔강 바닥에서 600년 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쓰촨성 충칭시 양쯔강 유역에서 커다란 바위의 가운데 부분을 파낸 뒤 만든 것으로 보이는 불상 3개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이 불상들은 연꽃 받침 위로 약 1m 크기의 불상이 있고 양옆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불상 2개가 자리 잡고 있다. 불상은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학술 가치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불상이 과거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사람들의 안전을 기원하던 의미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명나라 혹은 청나라 때의 것으로 추정했다.

황혜진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