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커진 '부제 해제'.. 법인택시 '반발' vs 개인택시 '환영'

전은지 기자 2022. 8. 4. 17: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택시난 해소를 위한 방안 가운데 '부제 해제'가 거론되자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개인택시업계는 정부의 부제 해제 검토 방침에 환영의 뜻을 보이고 있는 반면 법인택시업계는 부제는 택시기사들의 건강과 탑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라며 이를 훼손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택시난 해소를 위해 부제 해제를 거론하자 법인택시가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사진은 4일 경북 포항시청 앞에서 택시부제 해제를 반대하는 집회를 개최한 전국택시산업노동조합 포항시지회 소속 택시기사들. /사진=뉴시스

정부가 택시난 해소를 위한 방안 가운데 '부제 해제'가 거론되자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개인택시업계는 정부의 부제 해제 검토 방침에 환영의 뜻을 보이고 있는 반면 법인택시업계는 부제는 택시기사들의 건강과 탑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라며 이를 훼손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번 갈등은 어명소 국토교통부 제2차관이 지난 3일 서울 중구 국토발전전시관에서 서울·경기·인천·부산 등의 지방자치단체 교통국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심야 택시난 해소 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 때문이다. 당시 어 차관은 "국토부에선 플랫폼택시 탄력요금제 등 다양한 제도개선을, 지자체에선 택시 부제 해제와 심야 버스 확대 등 심야 이동권 제고를 위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전국적으로 통상 택시 3부제가 시행되고 있다. 3부제는 이틀 운행한 후 하루 쉬는 것이다. 즉 개인택시의 경우 가, 나, 다로 조를 나눠 가조와 나조가 운행하면 다조는 쉬고 나조와 다조가 운행하는 경우 가조는 휴무가 된다. 다만 최근 전기택시로 인해 택시 부제의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전기택시의 경우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따라 부제 없이 마음대로 운행하고 쉴 수 있다. 개인택시들은 이를 특혜라고 주장하며 부제를 해제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법인택시들은 제도의 취지나 목적에 따라 부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회적 안전장치인 부제가 해제될 경우 택시기사들의 휴식시간 보장이 사라지고 경쟁을 부추겨 결국 기사들을 과로사로 내몰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 역시 개인택시의 부제를 풀어 택시 대란을 줄여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원 장관은 지난 3일 자신이 진행하는 유튜브 채널 '원희룡TV'에서 "지자체에 개인택시 부제 해제를 요청해 공급이 충분히 될 때까지 개인택시가 먼저 시민들의 귀갓길 발이 돼 달라 요청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버 등의 자가용 영업 허락과 관련해선 "(우버는) '폭탄맛'에 해당하기 때문에 거기까지 가기 전에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다"며 "택시 업계의 노력이 우선 필요하고 공직자들이 택시업계, 플랫폼업계와 머리를 맞대고 계속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택시업계 한 관계자는 "택시 부제 해제는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커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일단 감차사업을 보류하고 부제 논의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교통전문가는 "법인과 개인택시 간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난 상황에서 섣부른 결정보다는 양측의 입장을 충분히 듣고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니S 주요뉴스]
[인격살해 '전세사기'] 잔금 날 3.2억 들고 도주한 집주인, 알고 보니 조직원
시세보다 10억 싼 '위례포레자이' 줍줍 4000명 몰려… 1년 새 반토막 왜?
건물 무너져도 정신 못차린 불법 하도급… 종합건설업체가 전문공사 수주해 '70%' 하청
상반기 폐기된 손상화폐 1조1566억원… 쌓으면 롯데타워 96배
비트코인, 美 나스닥 상승에 ↑… 2.3만달러대 등락
EV6, 지금 계약해도 대기기간 14개월… 여전한 반도체 수급난
'30조' 새출발기금 빚탕감 논란… "이자 잘 갚으면 바보되나"
한전, 내년 7월 자동이체 할인 폐지… 전기요금 부담 증가 불가피
'이자장사' 비판 이유 있었네… 4대 은행 임원 성과급 1083억원
유류세 탄력세율 50% 확대법 본회의 통과... 휘발유 가격더 떨어지나

전은지 기자 imz05@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