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맨틱에러'가 '체리마호'에게 (인터뷰)[스경X초점]

이다원 기자 2022. 7. 22. 0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TT플랫폼 왓챠 BL 인기시리즈 ‘시맨틱에러’(위)와 일본 대표 BL영화 ‘체리마호: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 한 장면. 사진제공|왓챠, (주)미디어캐슬



일본 BL물의 교과서로 불리는 드라마 ‘체리마호’가 동명의 영화 ‘체리마호: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로 다음 이야기를 이어간다.

사람의 마음을 읽게된 ‘아다치’(아카소 에이지)와 직장 동료 ‘쿠로사와’(마치다 케이타)의 로맨스를 그린 이 작품은 일본은 물론 아시아 전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며 두터운 팬덤을 형성했다. 사랑을 확인한 이후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들고 온 카자마 히로키 감독에게 국내 최고 BL인기작으로 꼽히는 OTT플랫폼 왓챠 시리즈 ‘시맨틱 에러’ 김수정 감독이 ‘스포츠경향’을 통해 직접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



[다음은 김수정 감독과 카자마 히로키 감독의 일문일답]

Q. 김수정 감독(이하 김) : 드라마와 영화의 가장 큰 차이는 서사를 풀어가는 방식일 것 같은데요. 드라마의 이야기 라인을 영화화할 때 가장 크게 신경써서 각색했던 지점은 무엇이었나요?

A. 카자마 히로키 감독(이하 카) : 원작을 바로 영화로 만드는 작업과, 원작을 드라마화하고 또 다시 영화화하는 작업은 굉장히 다르다고 생각해요. ‘체리마호’ 팬들은 작품만의 분위기를 정확하게 알고 영화를 보게 되잖아요? ‘체리마호’다운 개성을 지키면서 동시에 영화적으로 구성을 만들어가려고 고민을 많이 했어요. ‘체리마호’다운 게 뭘까. 드라마판에선 사랑을 하면서 생기는 즐거운 마음, 로코의 재미, 그러면서 두 인물 사이 애달픈 마음의 밸런스가 중요했는데요. 극장판에선 두 사람이 연인이 된 뒤 살아가는 일상을 덤덤하게 그리면서도 판타지나 유머를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Q. 김 : ‘체리마호’ 캐릭터는 굉장히 생동감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캐릭터를 선명하게 하기 위해 하신 특별한 연출적 방식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카 : 특별한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영화의 분위기를 잘 만들어가기 위해 테스트 촬영 전 배우들과 만나서 촬영 장면에 대해 배우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듣는 시간을 가져요. 이야기를 충분히 듣고 그걸 받아들여서 구성을 재구축하는 과정을 몇 번이고 반복하고요. 몇겹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배우의 연기를 결정합니다. 그렇게 배우와 신을 만들어갔어요. 시간이 충분히 있다면 이렇게 소통해서 만들려고 노력했어요.

Q. 김 : ‘시맨틱에러’를 분비하면서 BL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 낯설어하시는 분들까지 볼 수 있는 드라마였으면 좋겠다는 목표를 갖고 넓은 타겟층을 확보하기 위해 장르를 변주해보는 등 여러 시도들을 해봤던 기억이 나요. 그 과정에서 드라마 ‘체리마호’가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식을 참고하며 레펀런스로 삼았었는데, 감독님도 웹툰을 영상화하면서 타겟층을 다시 설정하고 타겟을 확장하려는 시도가 있었는지 궁금하빈다. 그리고 그 경험에는 어떤 노력들이 있어나요?

A. 카 : 처음에 BL 도전하겠다고 정했을 때 기존의 BL물을 참고하려고 하진 않았어요. 그런 걸 너무 의식하게 되면 그 장르만이 가진 에센스를 의식하고 만들 거 같았거든요. 대신 원작 ‘체리마호’만이 가진 정체성을 중시하려고 했죠. 오히려 참고한 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사람이 나오거나 마음의 소리를 중시하는 ‘베를린 천사의 시’나 ‘사토라레’ 등이었어요. 기본적으로 가진 ‘체리마호’만의 색깔을 중시하겠다는 생각을 했고, 널리 인기를 안게 된 건 이런 생각을 팬들이 응원을 해준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체리마호: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는 지난 13일 개봉한 이후 전국 극장가서 상영 중이다. ‘시맨틱에러’ 극장판인 ‘시맨틱 에러 : 더 무비’도 다음 달 개봉된다.

이다원 기자 edaone@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