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껑충 뛴 '금리'에 거래절벽으로..불확실성 커진 부동산 시장

황인표 기자 2022. 7. 14. 15:4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고종완 한국자산관리 연구원장, 최은영 한국도시 연구소장 

오늘(14일) 발표된 한국 부동산원의 7월 두 번째 주 집값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7주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빅스텝 금리인상까지 이뤄져 집값의 하향 안정세가 가속될 텐데요. 부동산 시장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집중진단해보겠습니다. 고종완 한국 자산관리 연구원장, 최은영 한국 도시 연구소장 나오셨습니다. 

Q. 오늘 발표된 한국 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 가격은 0.03% 하락, 전세 가격은 0.03% 하락했는데, 두 분 어떻게 보셨습니까? 

Q. 한은이 어제 한 번에 금리를 0.5%p 올리는 빅스텝을 결국 밟았는데, 이런 고금리 기조가 집값,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십니까? 

Q. 현재의 집값 하락이 큰 흐름으로 즉 대세 하락의 시작이라고 봐야 할까요? 거래량이 급감한 것에 대한 의미 해석도 좀 필요할 것 같은데요? 

Q. 지방의 집값도 좀 살펴볼 필요가 있죠. 대구나 인천 등 주요 광역시의 집값, 전셋값 상황은 어떻습니까? 

Q. 이런 상화에서도 여전히 집값이 고점에서 유지되거나 오히려 오르고 있는 곳이 있나요? 

Q. 임대차 3법 만료되는 이달 말을 앞두고 우려했던 전세대란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전세 수요가 적은 탓일까요? 

Q. 과거 집값 하락기에 나타났던 전셋값보다 집값이 떨어지는 '깡통전세' 현상이 나타나는 곳도 있습니까? 

Q. 전세에서 월세로 바꾸는 비율도 높아지는데 이것도 당분간은 유지될 것으로 보십니까? 

Q. 최근 서울에서조차 신규 분양 아파트에 미분양이 발생하고 있다고 하던데, 청약 시장 분위기는 어떤가요? 

Q. 정부와 여당이 '1가구 1주택' 종부세 과세기준을 11억에서 14억으로 올리려 하고 있습니다. 민주당도 종부세 완화에 동의하고 있는데, 두 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Q.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를 개편한 후 분양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컸는데, 실제로 오르고 있나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