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매물만 팔려요"..마래푸, 반포자이도 못 피한 거래절벽

권한울,박준형 2022. 6. 3.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분기 매매량 역대최저
서울 25개區 9곳 100건 미만
성북구·도봉구 60%대 줄어
반포자이도 손바뀜 11차례뿐
금리인상기 대출부담 커지고
尹정부 정책 관망심리 맞물려
"거래절벽 내년까지 갈수도"

◆ 얼어붙은 아파트시장 ◆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정책 불확실성이 맞물리면서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가 역대급 한파를 맞고 있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단지 전경. [박형기 기자]
"요즘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정말 안 좋아요. 가격이 싼 급매물만 간신히 팔리고 그 외에는 거래가 거의 없어요."(마포래미안푸르지오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대표)

치솟은 집값에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아파트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거래 절벽이 심화하고 있다. 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 위치한 3885가구 규모 대단지 아파트 '마포래미안푸르지오' 1~4단지에서 올해 이뤄진 매매는 단 7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가구의 0.002% 수준으로 지난 5개월 동안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단지별로는 같은 기간 1·2·4단지에서 각각 2건, 3단지에서 1건이 거래됐다.

아파트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2개월 전에는 25평형이 15억원에 팔렸는데 작년 가을 최고가가 17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2억원이 내렸다"면서 "15억원대 급매가 아니면 아예 안 팔리는 상황인데 매도자는 매도자대로 호가를 내리지 않아 거래가 뚝 끊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10월 19억4000만원에 거래됐던 4단지 전용 84㎡는 지난달 6500만원 내린 18억7500만원에 손바뀜됐다.

이는 마포구 아파트에 '영끌족'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집값이 치솟고 설상가상 금융권 대출 규제로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자 추격 매수세가 사라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선거 이후 정책 변화를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에 아파트 매수를 주저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강남 지역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3410가구 규모 대단지 아파트인 반포자이도 올해 들어 11건만 손바뀜이 이뤄졌다. 작년 10월 전용면적 84㎡가 36억6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올해 3월에는 약 2억원 내린 34억7000만원에 매매됐다. 보유세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 이전에 집을 처분하려는 사람들이 있어 그나마 일부 거래가 이뤄졌지만 연말까지 거래 가뭄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거래 절벽은 서울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체에서도 확인된다. 부동산 정보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분기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2만2489건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1분기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서울과 인천은 각각 3921건, 3199건으로 역대 최소 거래량을 기록했고, 경기도만 1만5369건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던 2008년 4분기 이후 최소 거래량을 보였다. 서울에선 성북구가 126건으로 전 분기 대비 62.8% 줄어들며 감소율 1위를 기록했다. 서울 25개 구 중 중구(53건), 용산구(53건), 광진구(61건), 종로구(62건) 등 9개 구가 100건 미만으로 거래됐다. 또 도봉구(-60.1%), 성동구(-58.7%) 등 비강남권 지역이 주로 거래량이 급감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이 1분기에 거래량 8건, 감소율 72.4%로 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연초 이후 시장 관망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가격 고점 부담과 정부 대출 규제 등이 거래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인천 연수구의 경우 지난해 가격이 급등했고, 과천 등 다른 지역도 정부 대출 규제로 15억원 초과 아파트는 대출이 안 되다 보니 가격이 오른 상태에서 대출 없이 거래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연수구 아파트는 전년 대비 33.11% 상승해 인천시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거래 절벽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최환석 하나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시장 정체기와 거래 절벽 현상이 연말이나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권한울 기자 / 박준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