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주미공사 박정양 워싱턴 활동 사진 최초 발견

워싱턴/이민석 특파원 2022. 6. 3. 04: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고택 방문 현장
당시 참찬관으로 공사관 일행이었던 이완용과 부인 사진도

초대 주미조선전권공사인 박정양이 공사관원들과 함께 조지 워싱턴 고택을 방문한 사진이 확인됐다. 초대 주미공사관원들의 활동상은 기록 및 그림으로만 전해졌는데, 사진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관장 김상엽 국회소재문화재재단 미국사무소장)은 2일(현지 시각) 초대 주미공사관원들의 미국내 활동을 담은 사진 2장을 공개했다.

첫 번째 사진은 박정양(朴定陽)이 공사관원들과 함께 1888년 4월26일 버지니아 마운트 버넌에 위치한 미국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고택을 방문한 사진이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2일(현지 시각) 초대 주미공사관원들의 미국내 활동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왼쪽부터 무관 이종하, 주미공사 박정양, 수행원 화가 강진희, 서기관 이하영.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무관 이종하(李鍾夏)와 수행원인 화가 강진희(姜璡熙)가 양 옆에 있고, 오른쪽에는 서기관 이하영(李夏榮)이 현지인 가족들 사이에 서 있다. 현지인들이 이들 관원들 뒤에 모여 있는 모습을 두고 공사관은 “현지인들의 많은 관심과 환영을 받았다”고 했다. 이들은 미국에 처음 부임했을 때 독특한 한복 차림새로 가는 곳마다 눈길을 끌었다.

이 사진은 미국인 이자벨 하인즈만이 한 경매 사이트에서 구입해 보관하다 2020년 마운트 버넌 워싱턴 도서관에 기증했다. 도서관측은 공사관측에 해당 사진에 나온 인물들과 방문일시 등을 문의했고, 공사관측은 국내 전문가들과 자료 등을 토대로 사진에 찍힌 인물들이 박정양 초대 공사 등 외교 공관원들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사진은 박정양이 공사관원들과 함께 1888년 4월26일(양력) 버지니아 마운트 버넌에 위치한 미국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고택을 방문한 모습.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제공

박정양이 조지 워싱턴 생가를 방문한 때는 박정양과 관원들이 그해 1월17일 백악관을 방문해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에게 국서(친서)를 전달한지 3개월이 지난 시점이다. 당시 참찬관이었던 이완용과 번역관이었던 이채연은 본국으로 일시 귀국길에 올라 함께 방문하지 못해 사진에는 없다. 공사관은 “사진은 박정양 등 공관원들이 워싱턴의 고택에 배를 타고 도착한 뒤 현지인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사진은 우리나라 공식 외교관원이 미국의 기관을 방문한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또 한 장의 사진은 이듬해인 1989년 5월6일 이완용과 이채연이 본국에서 미국에 돌아온 후 부인들과 함께 마운트 버넌을 방문한 사진이다. 이 사진에는 날씨 탓인지 남성들이 양산을 들고 있는 것이 모습이 담겼다.

왼쪽부터 박정양의 귀국으로 공사대리를 맡고 있던 이하영, 이채연의 부인, 이채연, 알렌과 알렌의 딸, 이완용, 이완용의 부인.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대미외교사 전문가인 한철호 동국대 교수는 이번 사진 자료 발굴에 대해 “당시 고종의 지시에 따라 미국 현지의 사정, 제도, 문물 등의 실상을 파악하던 박정양 공사 일행의 현지 활동모습이 사진을 통해 처음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공사관 복원공사 프로젝트 매니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김종헌 배제대 교수는 “박정양이 그의 문집에서 조지 워싱턴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마운트 버넌 방문을 중요하게 서술한 것은 조선의 자주 독립을 위한 노력 때문이며, 귀국 후 독립협회를 적극 지원한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1887년 조선이 미국에 전권공사를 파견하려 하자 청나라는 ‘속국의 공사 파견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반발했었다. 당시 조선 정부는 미국 활동을 청나라에게 보고하고 청 관리가 외교 활동에 동행한다는 청의 조건을 수용했지만, 박정양은 워싱턴DC에 도착하자마자 청에 보고 없이 당시 미 대통령 클리블랜드에게 신임장을 제정했다. 청은 박정양의 처벌을 요구하는 등 압박을 넣었고, 박정양은 미국에 도착한지 1년여만에 귀국했다. 김상엽 관장은 “이번 사진 공개를 계기로 관련 기관·연구자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공사관과 한미 외교사 관련 자료를 적극적으로 찾을 예정”이라며 “수집한 자료는 향후 전시회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