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전세대란 재현?..정부, 실거주의무 '전월세 금지법' 푼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는 8월 전세대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단기대책으로 실거주의무 완화 카드를 꺼냈다.
━8월 전세대란? 집주인 5년 실거주 의무 풀고 전세대출 한도 늘리겠다는 원희룡..주담대 전입의무도 완화할듯━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23일 세종에서 취임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임대차3법 장단기 대책을 오는 6월까지 내놓겠다고 약속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는 8월 전세대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단기대책으로 실거주의무 완화 카드를 꺼냈다. 실거주 의무가 사라지면 집주인이 전세로 내놓을 수 있게 돼 전세매물이 늘어나게 된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적용하는 6개월내 전입 의무 완화도 검토 대상에 올랐다.
임대차 시장에서 부작용이 발생한 임대차3법의 개선 방향으론 일반 임대인에게도 임대사업자 수준으로 보유세(재산세+종부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단기 대책으로는 일명 '전월세 금지법'으로 불리는 최장 5년의 실거주 의무 완화 방안이 검토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갱신에서 신규계약으로 갈아타야 하는 세입자 부담을 낮추기 위한 전세대출 한도 확대도 거론됐다. 구체적인 규제 완화 시기와 정도에 따라 시장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원 장관은 "전월세 물량 공급을 촉진하도록 당장 할 수 있는 몇가지 제도적 조치가 있어 심도있게 검토 중"이라며 '분양가상한제에 묶인 실거주의무'와 '투기를 건드리지 않는 주택담보대출'을 예로 들었다.
분양가상한제에 묶인 실거주의무는 일명 '전월세금지법'을 의미한다. 현재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아파트 수분양자의 경우 최장 5년의 실거주 의무를 지켜야 한다. 지난해 주택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민간택지에서 분양가격이 인근 지역 주택 매매가격의 80% 미만이면 3년, 인근 매매가격의 80% 이상 100% 미만이면 2년의 거주 의무 기간이 부여됐다. 공공택지에 민간이 지어도 인근 지역 가격의 80% 미만이면 5년, 80% 이상·100% 미만이면 3년간 의무 거주 조건이 붙는다.
주택담보대출은 주담대를 받은 경우 6개월 안에 해당 주택에 전입하지 않으면 대출을 회수토록 한 조치다. 아파트 분양 후 잔금대출시 주담대를 받으면 무조건 6개월내 입주해야 해 이 역시 전세매물 감소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하지만 실거주 의무 완화는 전세를 낀 매매인 갭투자 유발 요인이라는 점에서 논란이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규제완화 방법과 시기 등에 대해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 장관은 임대차3법의 장기적 개선 방향도 언급했다. 그는 "(임대차3법의)2+2년과 5% 상한에 문제가 많다. 가격 통제로 시장을 경직시키고 부작용이 많다"며 "현재 임대차법의 3가지 장치를 그대로 가져갈 순 없다"고 했다.
원 장관은 개편 방향으로 등록임대사업자처럼 일반 임대인들도 보유세 등의 혜택을 줘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갱신을 여러번 하고 임대료를 등록임대사업자 수준으로 한다면 등록임대에 해당하는 세제, 금융혜택을 못 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임대차3법 적용을 받는 주택을 보유한 집주인에게 임대사업자처럼 재산세와 종부세, 양도세 등의 각종 혜택이 부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정준호, 이병헌에 "왜 그러고 사냐"더니…몸매로 굴욕당한 사연 - 머니투데이
- "담배 대신 사줄게" 12세 女와 유사성행위 한 20대 남성 입건 - 머니투데이
- 모르는 남자가 '가슴 만지고' 도망…한밤중 공포의 귀갓길 - 머니투데이
- 김지민 "돈 때문이면 안 만났다"…♥김준호 "나보다 돈 많아" - 머니투데이
- 제니, BTS 뷔와 제주도서 포착?…'GD와 결별설' 3일만에 '열애설' - 머니투데이
- '김정은 친분' 과시하던 트럼프 돌아왔지만…北에 러브콜 안한 미국, 왜? - 머니투데이
- 폴란드 원전, 원점으로…"한국 계약 재검토" - 머니투데이
- 출근길 칼바람에 체감온도 '뚝'…다시 찾아온 한파 - 머니투데이
- "살해가 우울증 때문?"…'하늘이법' 추진에 의사도, 교사도 '우려' - 머니투데이
- K원전, 유럽 주도권 빼앗기나…한수원 "체코수주 문제없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