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오밍두꺼비'에 대해 들어 보셨나요 [김영준의 균형]

2022. 5. 3. 2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월 22일은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입니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전하기 위해 생물다양성 협약 문구를 채택한 1992년 5월 22일을 기념하기 위함이지요.

이 협약은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의 지속 가능한 활용, 유전자원에서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균등한 배분이라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은 작은 내 삶에서 출발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5월 22일은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입니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전하기 위해 생물다양성 협약 문구를 채택한 1992년 5월 22일을 기념하기 위함이지요. 이 협약은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의 지속 가능한 활용, 유전자원에서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균등한 배분이라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익공유 항목은 2014년 발효한 나고야의정서를 통해 강조된 것입니다. 선진국 지식재산권 보호에 집중된 체계에서 벗어나 생물자원을 보유한 개발도상국의 이익과 주권 확보가 강화된 것이죠.

현재 전 지구적 생물다양성 손실률은 자연적 소멸률보다 100~1,000배에 이를 것이라 추정하며, 지구 역사상 어느 때보다도 빠르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죠. 2021년 국제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기준으로 평가한 134,400종 중 약 28%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는 2006년 16,119종에 비해 37,400종으로 늘어난 셈입니다.

생물다양성 감소는 생태계 구성과 적절한 기능 유지능력을 위협합니다. 어떤 생태계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관련된 스트레스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생물다양성 손실은 생태계 복잡성을 감소시켜 복원력을 떨어뜨립니다. 한 예로 2015년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3가지 식물로 이뤄진 생태계는 가뭄이나 홍수 등 극단적 기후 사건 이후 50% 정도 변화가 발생하지만 16~32종이 서식하는 생태계는 동일 조건에서 25%만 변화하는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죠. 이는 생물다양성이 높을수록 생태계 내의 생산성과 식품, 깨끗한 물과 공기, 안정된 기후와 같은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연의 능력이 안정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서식지 파괴와 질 저하, 무분별한 플라스틱 사용과 배출, 남획, 밀렵, 광범위한 농약과 살충제 사용, 농업용 수자원 남용, 화석연료와 기후변화, 외래종 도입과 감염성 질병 전파, 산림벌채 등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방법으로 생물다양성 손실을 초래하는 인위적 환경 변화와 행위는 생태계 안정성을 무너뜨리고, 결국 인간에게 그 책임을 물어 온다는 것은 명약관화합니다.

생물다양성 감소는 비단 생물종 수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최근 야생 개체수가 400~1,500마리에 불과한 와이오밍두꺼비의 면역체계에 관한 연구가 나왔습니다. 감소한 개체군에게는 유전적 다양성마저 줄어들고, 이는 질병체에 대항하는 면역체계 감소와도 연관될 것이라는 예상이었죠. 건강한 개체군에서는 다양한 유전자가 후손들에게 전달되어 불특정 병원체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위해 종과 개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특정 면역계 유전자를 조사하니 사육 개체군에게는 유전적 병목현상으로 인해 그 다양성이 매우 줄어들었고, 다른 두꺼비 종류에 비해서도 그 다양성은 낮았죠. 와이오밍두꺼비는 불특정 병원체에 저항할 수 있는 면역 다양성을 상실해 가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 종 보전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은 작은 내 삶에서 출발합니다.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에 대한 내 삶을 다시 한번 돌아봤으면 합니다.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