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하지 말아야 할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무비뷰]

최혜진 기자 2022. 4. 26. 11: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빗겨나가 더 많은 것을 보여준다.

피해자 시선에서 벗어나 가해자의 잔혹성을, 상식에서 어긋나 더욱 모난 마음들을 도드라지게 한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감독 김지훈·제작 더 타워픽쳐스, 이하 '니 부모')는 스스로 몸을 던진 한 학생의 편지에 남겨진 4명의 이름, 가해자로 지목된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사건을 은폐하려는 부모들의 추악한 민낯을 그린 영화다.

가해자들의 민낯은 정제되지 않아 더욱 참담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 사진=영화 포스터

[스포츠투데이 최혜진 기자] 빗겨나가 더 많은 것을 보여준다. 피해자 시선에서 벗어나 가해자의 잔혹성을, 상식에서 어긋나 더욱 모난 마음들을 도드라지게 한다. 새로운 관점으로 외면하고 싶은 진실들을 마주하게 하는 영화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감독 김지훈·제작 더 타워픽쳐스, 이하 '니 부모')는 스스로 몸을 던진 한 학생의 편지에 남겨진 4명의 이름, 가해자로 지목된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사건을 은폐하려는 부모들의 추악한 민낯을 그린 영화다.

작품은 호수에서 건져진 중학생 김건우(유재상)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김건우는 호숫가에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하고 기간제 교사 송정욱(천우희) 앞으로 유서를 남겼다.

유서에는 명문가 자제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병원 이사장 도지열(오달수)의 아들 윤재(정유안), 중학교 학생주임 정 선생(고창석)의 아들 이든(정택현), 전직 경찰청장 박무택(김홍파)의 손자 규범(박진우), 그리고 변호사 강호창(설경구)의 아들 한결(성유빈)까지.

가해자 부모들은 사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끔찍한 민낯을 확인한다. 그러나 진상 규명에는 관심이 없다. 사건을 덮기 위해 증거를 은폐한다. 이를 지켜본 송정욱은 죄책감에 시달리다 사건을 세상에 알린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 사진=영화 스틸컷


작품의 특징은 '빗겨남'에 있다. 먼저 피해자의 상처와 트라우마에 초점을 맞춰왔던 작품들과 다르다. 이러한 초점에서 비껴가 가해자 부모의 시선에 스포트라이트가 맞춰져 있다. 이들은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공작 모의를 맞춘다.

가해자들의 민낯은 정제되지 않아 더욱 참담하다. 상황 해결에 급급한 이들을 보며 분노가 들끓는다. 외면하고 싶었던 진실들을 목도하는 듯하다.

그래서 생각할 여지는 더욱 많아진다. 우리는 그동안 불편한 진실과 추악한 민낯들을 외면하고 싶어 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의문도 생긴다. 빗겨나간 관점이 의외의 깨우침을 주는 셈이다.

비껴간 부성애에 사회적 계급이란 요소도 더했다. 학교 내에서 일어난 이슈를 사회 문제로까지 이어주는 연결고리다. 학생들 사이에서 벌어진 학폭 문제를 사회적으로 확대해 함께 고민하고 생각해 보게 한다.

올곧은 것은 배우들의 열연이다. 설경구를 필두로 천우희, 오달수, 고창석, 김홍파, 천우희 등은 흠잡을 데 없는 연기력을 보여준다. 가해자 학생으로 분한 아역들의 활약도 눈에 띈다.

이처럼 '니 부모'는 빗겨나간 관점이지만 그 주제와 메시지는 명확하게 전달한다. 작품을 통해 생각해 볼만한 화두를 던지며 사회적 문제를 직시하게 한다. 불편한 진실로 가득하지만 작품을 외면할 수 없는 이유다. 27일 개봉된다.

[스포츠투데이 최혜진 기자 ent@stoo.com]

Copyright © 스포츠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