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유행에 급식 대체인력 구하기 '비상'.."1천명 풀 확보"(종합)

이도연 2022. 4. 5. 11: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주간 서울 학생 4만3088명 확진..2주 연속 감소세
초등학교 급식실 개학 맞이 청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학교 급식종사자의 코로나19 확진이 잇따르면서 급식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학교가 늘고 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급식종사자 대체 인력풀을 만드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5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으로 서울 전체 급식 운영 학교 1천353개교 중 94.5%인 1천278개교에서는 정상 급식이 이뤄졌고 나머지 5.5%(75개교)에서는 간편식, 대체식, 운반 급식 등이 실시됐다.

1주 뒤인 같은 달 30일에는 전체 학교 중 96.1%에서 정상 급식이, 나머지 3.9%에서 간편식, 대체식, 운반 급식이 이뤄졌다.

급식종사자의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적지 않은 학교에서 급식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1주일 사이 정상 급식 학교 비율은 다소 늘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급식종사자를 대체할 인력 부족과 업무 가중 등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 학교 급식 운영 현황 [서울시교육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시교육청 조사에 따르면 각 학교는 평균 0.88명의 급식종사자 대체인력 명단을 확보하고 있다.

급식 운영 학교 1천353개교에 이를 대입하면 총 1천190명의 대체 인력이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교육청은 중복 인원을 고려해도 1천 명 이상의 급식종사자 대체 인력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인력풀을 만들어 명단을 공유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1∼2년 전 퇴직한 인력과 현재 활동 중인 방역인력도 급식종사원 대체 인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육청은 학교가 급식종사자 신규 대체인력을 채용할 경우 1인당 2만 원 내외의 보건증 발급 비용을 올해 한시적으로 학교가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계획도 있다.

함혜성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인력풀 1천명을 자치구별, 지원청별 주소를 넣어 파일을 만들고, 대체 인력으로 학교에 당일 나가는 인력은 시스템에서 보이지 않도록 처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서울 학생·교직원 확진자는 2주 연속 줄었다.

3월 28일부터 4월 3일까지 1주간 서울 유·초·중·고 학생 확진자는 4만3천88명이었다.

이는 직전 주(3월 21∼27일)의 5만5천419명보다 1만2천331명 줄어든 것이다.

2주 전인 6만4천48명보다는 2만960명 줄어들어 2주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학교급별로 보면 직전 주와 마찬가지로 초등학생의 확진자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1주간 1만 명 당 확진자 발생률은 초등학생이 541.1명이었고 중학생이 476.4명, 고등학생이 402.0명, 유치원이 332.1명이었다.

학교급별 전체 학생수 대비 학생 확진자 발생률 [서울시교육청 제공]

같은 기간 교직원 확진자는 4천316명으로 역시 직전 주 5천189명보다 873명 줄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1주간 학생·교직원 일평균 6천772명이 확진됐다"며 "국내 오미크론 (확진) 감소 추세가 학교 현장에도 그대로 반영된 수치"라고 설명했다.

2주 연속 학생·교직원 확진자 수는 감소세를 보였으나 서울시 대비 교육청 확진자 비율은 12.8%로 2주 전 12.9%와 비교해 크게 변화가 없었다.

전날 기준으로 전체 서울 유·초·중·고·특수 학교 총 2천109개교 중 90.1%인 1천901개교가 전면 등교했다.

이는 1주의 82.8%보다 7.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학교급별로 보면 유치원이 98.3%로 전면 등교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의 93.1%, 중학교 중 87.1%, 초등학교 중 80.5%가 전체 등교했다.

서울 전체 유·초·중·고·특수 학교 학생 87만9천128명 중 90%인 79만1천53명이 등교했다.

서울 학교 등교 유형 현황 [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시교육청은 집단감염이 발생한 학교를 대상으로 운영하던 현장 이동형 검체팀을 이번 달부터 확대 운영한다.

집단감염 발생 학교 외에도 선제 검사를 원하는 학교,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유치원·특수학교, 기숙사 운영학교, 특성화고, 서울소년체육대회 출전선수까지 이동검체팀 지원 대상을 늘린다.

이 밖에도 5월 이후에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경정예산으로 400억 원을 확보해 6주분 물량 600만 개를 비축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은 거리두기 완화 이후의 등교 방침은 교육부와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다.

조 교육감은 "교육부와 협의하면서 새로운 시기에 맞는 방침을 내놓겠다"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 교육회복 등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조 교육감은 오는 6월 1일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에 관한 질문에는 "나중에 코로나 아닌 다른 주제로 기자간담회 할 수 있으면 그때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난 2년간 코로나 국면을 헤쳐오는 과정에서 나름대로 학교의 안전과 건강, 원격수업 통한 교육활동의 지속, 기초학력 등에 있어 최선을 다 했다"고 강조했다.

dyl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