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마비 생존자, 파킨슨병 위험 낮아져 (연구)

정희은 2022. 2. 17. 20: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심장마비를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은 향후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병원(Aarhus University Hospital) 연구진은 덴마크 국민보건서비스 건강 기록부에 등록된 사람 중 1995년에서 2016년 사이 처음 심장마비를 경험한 환자 약 18만 2천명(평균 연령 71세, 남성 62%)과 대조군 90만 9천여명의 파킨슨병 및 이차성 파킨슨증 위험을 비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심장마비를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은 향후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병원(Aarhus University Hospital) 연구진은 덴마크 국민보건서비스 건강 기록부에 등록된 사람 중 1995년에서 2016년 사이 처음 심장마비를 경험한 환자 약 18만 2천명(평균 연령 71세, 남성 62%)과 대조군 90만 9천여명의 파킨슨병 및 이차성 파킨슨증 위험을 비교했다.

최대 21년 동안의 지속적인 추적관찰 결과, 연구진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심장마비를 겪은 사람의 파킨슨병 위험은 20%, 이차성 파킨슨증 위험은 28%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심장마비나 파킨슨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결과다.

연구저자인 오르후스 대학병원 임상 역학 및 순환기내과 옌스 선불 박사는 "심장마비 이후 허혈성 뇌졸중이나 혈관성 치매와 같은 신경혈관 합병증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한다는 것이 이전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며 "이와는 달리 심장마비를 겪은 사람의 파킨슨병 위험이 낮아진다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다소 놀라웠다"고 말했다.

심장마비와 파킨슨병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많은 연구를 통해 이 두 질병은 노인 남성에게서 발병 위험이 높다는 점, 커피를 더 많이 마시고 신체 활동이 더 활발한 사람들에게서 발병 위험이 낮다는 점이 비슷하다.

그러면서도 심장마비의 고전적인 위험 요소인 흡연,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병과 같은 인자는 파킨슨병의 발병 위험과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고, 오히려 이런 경우 낮은 위험을 보인다.

이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연구진은 많은 심장마비 환자가 흡연을 하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진 것이 생존자들 사이에서 파킨슨병의 위험을 약간 감소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조군과 비교해 이 환자들의 파킨슨병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심장마비를 겪은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은 심장 마비 후 재활을 허혈성 뇌졸중, 혈관성 치매, 추가 심장마비나 심부전과 같은 기타 심혈관 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가 시사하는 바"라고 설명했다.

파킨슨병은 서동증(운동 느림), 안정 시 떨림, 근육 강직, 자세 불안정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서서히 운동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운동 기능과 관련된 증상 외에도 우울, 불안, 인지 기능 장애, 피로 등 비운동성 증상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이차성 파킨슨증(Secondary parkinsonism)은 뇌졸중, 정신과 약물이나 심혈관계 약물, 기타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한편, 이번 연구는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환자의 흡연과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았고, 연구 대상 또한 한정적이라 다양한 인구를 대상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됐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 저널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게재됐다.

정희은 기자 (eun@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