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스키 유니폼에 새겨진 나라 이름 '덕국'..개최국 존중 의미

김동찬 2022. 2. 17. 10: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독일 알파인 스키 선수들은 유니폼에 한자로 나라 이름을 새기고 뛴다.

중국 표기와 의미를 알려준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자원봉사자는 "나라 이름은 발음에 맞는 글자를 쓰되, 좋은 의미의 단어를 찾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중·일, 다른 나라 이름 한자 표기에 조금씩 차이
한자로 '덕국대'라는 표기를 하고 출전한 독일 알파인 스키 선수. [AP=연합뉴스]

(베이징=연합뉴스) 김동찬 기자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독일 알파인 스키 선수들은 유니폼에 한자로 나라 이름을 새기고 뛴다.

독일의 중국식 명칭인 '덕국'(德國)에 팀을 뜻하는 '대'(隊)가 상·하의 부분에 표기돼 있다. 중국 발음으로는 '더궈두에'와 비슷하게 된다.

알파인 스키에 출전한 모든 나라 선수들이 중국어 나라 이름을 표기하고 뛰는 것은 아니다.

독일 알파인 스키 대표팀의 볼프강 마이어 디렉터는 차이나 데일리와 인터뷰에서 "개최국인 중국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유니폼 디자인을 정했다"며 "독일과 중국은 오랜 기간 가까이 지낸 나라로 그런 좋은 관계를 스포츠에서도 표현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한자를 알지 못하는 마이어 디렉터는 "이 한자가 의미하는 바를 알고 나서는 더 멋있다고 생각했다"며 "우리 유니폼을 중국 팬들도 많이 좋아해 주시는 것 같다"고 즐거워했다.

'덕'(德)자는 '크다, 베풀다'는 의미를 가진 한자다. 도덕적이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이번 대회에 각 나라를 표기하는 중국어 한자는 우리나라의 한자 표기와 같은 것도 있지만 독일(獨逸)처럼 다른 경우도 꽤 된다.

미국은 한국과 중국이 '美國'으로 쓰지만, 일본은 '米國'으로 표기한다.

프랑스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불란서'(佛蘭西)로 표기하는 데 비해 중국에서는 '법국'(法國)이다. 발음은 '파궈' 정도가 된다.

이탈리아 역시 한국의 한자 표기는 '이태리'(伊太利), 중국은 '의대리'(意大利)로 다르다.

네덜란드는 한국에서 '화란'(和蘭)으로 쓰고, 중국은 '하란'(荷蘭)으로 첫 글자에 차이가 난다. 중국은 '연꽃 하'와 '난초 란'을 더한 조합이다.

중국에서 핀란드는 '분란'(芬蘭)으로 쓴다. '향기 나는 난초'라는 의미가 있다.

중국 표기와 의미를 알려준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자원봉사자는 "나라 이름은 발음에 맞는 글자를 쓰되, 좋은 의미의 단어를 찾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뉴질랜드는 발음과 의미가 결합한 한자 표기로 쓴다. '신서란'(新西蘭)으로 표기하는데 뒤에 '서란'이 영어 'Zealand'의 발음 부분에 해당하고, 앞에 '신'은 'New'의 의미를 표현한다.

이번 대회 메달 순위 종합 1위를 달리는 노르웨이는 '나위'(挪威)로 표기한다.

email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