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말띠 '지워진 여성'들 되살아나[책과 삶]

오경민 기자 2022. 2. 11. 20: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
황모과 지음
문학과지성사 | 259쪽 | 1만4000원

고등학교 2학년이 되던 날, 채진리는 등굣길에 ‘쿵’ 하는 짧은 떨림을 느낀다. 세상이 그 순간 크게, 그것도 나쁘게 변했다는 것을 진리는 직감한다. 학교에 도착했더니 동급생의 절반이 세상을 다르게 기억하고 있다. 남학생들은 진리를 비롯한 여학생들의 존재를 기억하지 못한다. 게다가 이 학교가 원래는 남학교였다고 주장한다. 다정했던 남자친구 훈우는 진리를 알지 못할 뿐 아니라 태도도 무례해졌다. 그날부터 학교는 혐오와 차별로 얼룩진다. 진리의 여성 친구들이 하나둘 사라지기 시작한다. 사라지고 나면 누구도 그 존재를 기억하지 못한다.

진리가 태어난 1990년은 ‘백말띠의 해’다. 남아선호가 극심하던 중 “백말띠 여자는 드세다”는 속설까지 돌아 그해 출생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16.5명을 기록했다. 생물학자들은 인간의 자연 출생 성비를 105~106 정도로 본다. 황모과 작가는 첫 장편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에 태어나지 못한 여성, 지워진 여성들을 복원한다.

이야기는 ‘갈 곳’이 아니라 ‘가야 할 곳’을 향한다. 인물 간 대화는 다소 부자연스럽고, 내용 전개는 투박하다. 진리는 “우린 목격자이고 생존자이고 메신저”라며 “앞으로도 나랑 함께 살아남자”는, 작가가 빙의한 듯한 말을 남긴다. “구조적 성차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며 여성가족부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후보가 여론조사 선두를 달리는 세상에, 소설은 카운터펀치를 날린다. 황 작가는 “대선 의제에서도 여성들은 사라졌다. 세상의 반을 지우고도(아니 지워야만) 표를 얻을 수 있다는 이들이 정책과 제도를 결정하는 자리에 포진해 있다”며 “지워진 수많은 존재에 대한 은유가 되길 바라며 소설 속에 어떤 ‘지워진 세계’를 재현했다”고 썼다.

오경민 기자 5k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