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not about pronunciation (KOR)

2022. 2. 8. 08: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RE100 refers to a campaign to switch 100 percent of the electricity used by companies to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and hydroelectric power from fossil fuels by 2050. It stands for "Renewable Energy 100 percent."

RE100.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석탄 같은 석유화석연료가 아닌 태양광‧풍력‧수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바꾸자는 캠페인을 뜻하는 단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RE100 refers to a campaign to switch 100 percent of the electricity used by companies to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and hydroelectric power from fossil fuels by 2050. It stands for "Renewable Energy 100..

CHOI HYUN-JU The author is a life economic news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RE100 refers to a campaign to switch 100 percent of the electricity used by companies to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and hydroelectric power from fossil fuels by 2050. It stands for “Renewable Energy 100 percent.”

London-based multi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 the Clivet Group started the initiative in 2014. More than 340 companies, including Apple, Google and Intel, joined in the effort. In Korea, starting with SK in December 2020, more than 10 companies are participating.

While companies voluntarily join the campaign, qualifications are quite strict. The size of the company should be equivalent to the top 1,000 companies selected by Fortune magazine, and the annual electricity consumption of 100 gigawatt hours or more should be met. It had been hard for Korean companies to join RE100, as they purchase electricity only through Kepco when they should be able to directly have a contract with a renewable energy provider. In April,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was revised, allowing companies to make direct contracts with suppliers.

On Feb. 3, RE100 was mentioned at the first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Ruling Democratic Party (DP) candidate Lee Jae-myung asked his rival Yoon Suk-yeol from the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about the country’s response to RE100. Yoon asked, “What’s that?” One side attacked Yoon for lacking qualifications to run for president for being ignorant about RE100, while the other side claimed that Lee didn’t know the proper pronunciation.

There is actually no proper way to pronounce RE100. In Britain, it is read, “RE one hundred.” CNN and other media call it as “Renewable Energy one hundre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ferred to it as “RE baek [Korean for 100]” in the press release issued on Oct. 11, 2021, and then it was changed to “R-E baek” in the press release a day later.

A similar thing happened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in 2017. Then-DP candidate Moon Jae-in said the numbers in Korean when he referred to 3-D printers and the 5G network. Opponents attacked him as being unfit for president as he didn’t read them in English.

Voters are not interested in how the English phrase is pronounced or what it means. They want to see the insight of the candidate on climate change — the reason for RE100 — as it is the mutual challenge the humanity is faced with. Citizens are tired of searching for the pronunciation of economic terms as they watch presidential debates.

RE100 최현주 생활경제팀 기자

RE100.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석탄 같은 석유화석연료가 아닌 태양광‧풍력‧수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바꾸자는 캠페인을 뜻하는 단어다. ‘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 ‘재생가능 에너지 100%’로 해석할 수 있다. 영국 런던에 있는 다국적 비영리 기구인 더 클라이빗 그룹이 2014년 시작했다. 애플‧구글‧인텔 등 340여 개 기업이 동참, 국내에선 2020년 12월 SK를 시작으로 10여 개 업체가 참여한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캠페인이지만, 가입조건이 꽤 까다롭다. 미국 포천이 선정한 1000대 기업 수준이어야 하고, 연간 전력사용량(100GWh 이상) 등을 만족해야 한다. 그간 국내선 RE100에 동참하기 어려웠다. 재생에너지 공급자와 직접 계약해야 하는데 한국전력공사를 통해서만 전기를 구매하는 구조여서다. 지난해 4월 공급자와 직접 계약할 수 있도록 전기사업법이 개정되면서 길이 열렸다.

지난 3일 제20대 대통령 후보 첫 TV 토론회에 RE100이 등장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게 “알이 백(RE100)에 어떻게 대응할 생각”이라고 물었고, 윤 후보는 “그게 뭐죠”라고 답했다. 그러자 한쪽에선 “알이 백도 모르다니 대통령 자질이 없다”고 공격하고, 다른 쪽에선 “정작 읽는 법도 제대로 모르며 잘난 척”이라고 응수한다.

RE100을 읽는 법이 정해지진 않았다. 영국에선 RE100을 ‘알이 원 헌드레드’라고 읽는다. CNN 등 주요외신은 ‘리뉴어블 에너지 원 헌드레드’로 풀어서 보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0월 11일 보도자료에 ‘리 백’이라고 표기했고 하루 뒤인 12일 보도자료엔 ‘알이 백’이라 썼다.

비슷한 상황이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도 있었다.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D(3차원) 프린터를 ‘삼디’ 프린터, 5G(5세대 이동 통신)를 ‘오지’라고 발음했다. 상대 후보들은 “기본적 단어도 읽을 줄 모르다니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공격했다.

국민은 영어 약자의 발음이나 뜻이 궁금한 게 아니다. RE100의 존재 이유인 기후 위기라는 인류 공동 현안에 대한 후보자의 식견을 보고 싶을 뿐이다. 대통령 후보자 토론회를 보면서 경제 용어 발음까지 검색해야 하는 국민은 피곤하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