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꿈을 꾼다는 건/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2022. 2. 3.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꿈을 잘 꾸고 또 꿈이 잘 맞는다.

친구의 취업 꿈을 대신 꾸기도 하고, 사고를 꿈으로 예감하기도 한다.

비현실이고 낭만이고 불안과 두려움이고 또 희망이기도 한 꿈.

꿈이 현실이 된 사례는 또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꿈은 나쁜 게 아니다
시를 쓰고 싶다

아주 많은 것들이
믿고 의지하는

- 시인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의 메모

꿈을 잘 꾸고 또 꿈이 잘 맞는다. 친구의 취업 꿈을 대신 꾸기도 하고, 사고를 꿈으로 예감하기도 한다. 문제는 예감은 하되 예방은 못 한다는 것. 그래서 좋은 꿈을 꾸면 마음을 홀가분하게 덜고, 불길한 꿈에는 겸허한 마음을 챙긴다. 꿈은 여러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다. 간밤에 꾼 꿈도 꿈이고, 실현될 가능성이 적은 헛된 기대도 꿈이다. “꿈 깨라”는 아픈 말은 현실을 돌아보라는 질책이고, “꿈이 뭐니?”라고 묻는 건 상대방의 희망과 이상을 묻는 관심이다.

나이가 들면 좋은 의미의 꿈을 묻는 일이 어색해진다. 혼탁한 세상에서 시시한 어른이 된 우리는 간밤의 꿈을 기억하며 혼자 해몽 사이트를 뒤질지언정 내 꿈이 무엇인지는 쉽게 잊는다.

비현실이고 낭만이고 불안과 두려움이고 또 희망이기도 한 꿈.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서 꿈은 미지(未知)의 영토에 있다. 꿈이 작아지는 것은 우리가 가능성으로 상상하는 삶의 영토가 줄어든다는 뜻. 학생들과 면담할 때 “제 꿈은 ○○였는데…”라는 말을 자주 듣는데, 말줄임표 속에는 현실적인 이유로 그 꿈을 포기했다는 슬픈 체념이 있다. 꿈을 꾸는 게 어색해진 세상은 더이상 새로움이 자라지 않는 불모의 세상이다.

여기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1883~1963)라는 미국 시인의 메모가 있다.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부모님의 원을 좇아 의사가 됐다. 세상의 관점에서는 이미 성공했지만, 그에게는 다른 꿈이 있었다. 바로 시를 쓰는 것. 그것도 ‘아주 많은 것들이/믿고 의지하는’ 시를. 현실적인 층위에서는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시에 꿈을 걸고, 그는 만나는 이들을 면밀히 관찰했다. 청진기로 숨결을 살피고, 아기를 받으면서, 급하면 진료 카드에도 시를 썼다.

꿈은 나쁜 게 아니라니, 윌리엄스 시절에도 현실은 척박하여 꿈은 불가능한 몽상으로 자주 폄하됐다. 시인이 되고픈 꿈을 그는 일상을 돌보는 시선을 말로 그리며 차곡차곡 이루어 간다. 세상을 살피고 사람을 보듬는 살뜰한 시선에서 많은 것들이 믿고 의지하게 된 언어, 그만의 독특한 돌봄의 시선이 완성된다. 시인의 시 ‘그 빨간 외바퀴 수레’가 일상의 노동에 대한 오롯한 헌사인 것은 그런 이유다. 영화 ‘패터슨’에서 주인공 버스기사도 그런 세심한 살핌의 시선을 시로 쓴다. 그에게 꿈은 시였고, 시는 현실을 추동력 삼아 이루어졌다.

꿈이 현실이 된 사례는 또 있다. 며칠 전 받은 편지. 문장 다루는 일을 업으로 삼아보라는 내 권유에 글로 밥 벌어 먹을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거두고 노력한 결과 꿈을 이루었다고 한다. 선생의 믿음을 자기 믿음으로 만든 학생, 참 고맙다. 그러니 믿음과 의지와 꿈과 현실은 서로 동떨어져 있는 게 아니다. 각자의 꿈을 포기 않고 기쁘게 품는 세상, 시인도 나도 같은 꿈을 꾼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