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양도차액 100% 과세' 후일담 파장..당시 관계자들 반응은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후보가 문재인 정부 초기 경제부총리로 일했던 시절 "모 핵심(청와대 관계자)이 '양도차액 100% 과세'를 말하더라"라는 후일담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선 "사유재산을 강압적으로 빼앗겠다는 것이냐", "이런 생각이니 집값을 못 잡았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현행 기준으론 1주택자는 양도세 기본세율이 적용되고 시세 12억원까지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장기보유·고령자 공제 최대 80%)된다. 규제지역 내 다주택자라면 기본세율에 20~30%포인트 가산이 돼 최대 시세 차익의 82.5%(지방세 포함)를 양도세로 내야 한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중과'는 올해 6월부터 적용돼 아직 시행 1년이 안됐는데 김 후보의 발언은 이미 문재인 정부 2년차인 2018년에 아예 100% 환수를 검토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강남권에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국가냐'는 반발이 거셌다. 한 유명 부동산 카페에서는 "부동산에 대해 1도 모르는 사람들의 신념에 의한 정치"라고 비꼬는 글이 올라왔다. "정권교체 사유"라는 발언도 나왔다. "사유재산에 이렇게 까지 강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니", "갈아타기 금지, 거주이동 금지로 묶어두는 것", "아무도 집을 팔지도 사지말라는 것"이라며 반발이 거셌다.
상식적으로 양도세 100% 과세는' 득'보다는 '실'이 훨씬 많아서다. 이렇게 되면 다주택자들은 보유 주택을 매도하기 보다는 계속 보유하며 '버티기' 하는 것이 예상가능한 수순이다. 부동산 제도가 달라질 때까지 버티는 것이 '한푼'도 못 건지고 매물로 내놓는 것보다 낫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전체 주택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는 다주택자 매물이 잠기고, 시장에 공급이 부족해져 집값이 오른다. 이같은 '상식'을 간과하고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양도세 100%를 하자고 고집했을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해석이다.
다만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강화는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기본 방향은 맞다. 실제 2018년 8·2 대책에서 다주택자에 10~20%포인트 중과가 결정됐고, 2020년 7·10 대책에선 20~30%포인트로 '중'중과해 지난해 6월 시행됐다. 이에 따라 3주택 이상이라면 매각차익에 대해 최대 82.5%를 세금으로 낸다. 사실상 100%에 근접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로인해 다주택자들이 매도를 하기 보단 증여나 보유를 택해 시장 매물이 안나온다고 판단, 여야 대선후보들이 양도세 중중과 유예 혹은 폐지 공약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솔로지옥' 송지아, 볼륨 강조한 란제리룩…파격 의상도 '찰떡' - 머니투데이
- "아름다운 삶 살자"던 '깐부 할아버지' 오영수, 골든글로브 금자탑 - 머니투데이
- "8살 연상 남편, 알고보니 22살 연상 재혼남…조카는 아들이었다" - 머니투데이
- 강호동 14살 아들 퍼팅에 캐스터들 당황…"힘·유연성 다 갖춰" - 머니투데이
- '연봉 237억' 김병현, 재산상태 어떻길래…존리 "당신 최악" - 머니투데이
- "아들에 상처줘" 심수봉, 노래 부르다 눈물→유산 언급, 무슨 사연? - 머니투데이
- 故 김새론, '김아임' 개명→복귀 준비…지인 "열심히 해보자 했는데" - 머니투데이
- 탄핵 찬성 후 미국 간 이승환 "CIA 입국 거부 없었다" - 머니투데이
- 정시아 쏙 빼닮은 딸, 명문중 합격→전시회 열었다…"그림 수준급" - 머니투데이
- "여기서 카드 더 긁으면 60만원 캐시백" 몰려 가도…카드사는 "돈 못벌어" 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