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장항문학회 교과서, 한국 직장암 연구 수록했다

박종대 2022. 1. 6. 11: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대장항문학계를 대표하는 미국 대장항문학회(ASCRS)가 최근 개정판으로 펴낸 교과서에 국내 연구진이 수행 중인 연구가 인용됐다.

6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2022년 미국 대장항문학회 교과서' 최신 개정판에 2016년 12월부터 아주대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창우 교수와 경희대병원 외과 이석환 교수(책임연구자) 주도로 국내 14개 대학이 참여한 연구내용이 인용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아주대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창우 등 국내 14개 대학 연구
'강화항암치료’ 효과 확인 위한 연구
유럽 대장항문학회 연례학술대회서도 수상

아주대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창우 교수(왼쪽)와 경희대병원 외과 이석환 교수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세계 대장항문학계를 대표하는 미국 대장항문학회(ASCRS)가 최근 개정판으로 펴낸 교과서에 국내 연구진이 수행 중인 연구가 인용됐다.

6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2022년 미국 대장항문학회 교과서’ 최신 개정판에 2016년 12월부터 아주대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창우 교수와 경희대병원 외과 이석환 교수(책임연구자) 주도로 국내 14개 대학이 참여한 연구내용이 인용됐다.

이번에 인용된 연구는 기존 치료법과 강화항암치료법의 성적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제목은 ‘국소 진행성 중하부 직장암의 술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강화 항암화학치료의 효과: 다기관, 무작위 배정 연구’다. KSCP trial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mid or low rectal cancer after neo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ONCLUDE

미국 대장항문학회는 유럽 대장항문학회(ESCP)와 함께 세계 대장항문학계를 대표하는 학회다. 이 학회에서 출판하는 교과서는 학계 최고 수준의 권위를 지닌 바이블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대장항문학회(ASCRS)가 출간한 교과서 개정판 *재판매 및 DB 금지


이 연구내용은 2019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대장항문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도 ‘베스트 뉴 트라이얼 어워드’를 수상한 바 있다.

연구 목적은 직장암에서 항암방사선치료 후 수술까지 대기하는 기간 중 수술 후 시행 예정이었던 항암치료를 일부 앞당겨 순서를 바꿔 시행하는 ‘강화항암치료’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까지 정립된 국소 진행성 중하부 직장암의 표준 치료는 항암방사선치료 후 6~10주 대기 후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좀 더 높은 생존율과 낮은 재발률을 얻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중 하나가 ‘강화항암치료’다.

연구 실무를 총괄하고 있는 아주대병원 김창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아직 결과가 발표되기 전부터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국제 저널에 인용되는 등 큰 주목을 받고 있다”며 “궁극적으로 대장암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번 연구수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책임자인 경희대병원 이석환 교수는 “현재 연구 대상자 358명 중 76.3%가 등록됐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많은 임상 연구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식약처, 심평원, 임상약품 지원 회사, 참여기관 등 관계자들의 도움으로 연구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 2023년 즈음 연구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pjd@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