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뜨는 비대면 여행지..한국인들이 '가장 가보고 싶은 섬'은

박은석 2021. 12. 29. 12: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장 가보고 싶은 섬' 제주도, 울릉도, 독도, 거제도, 우도 순
'가장 기억에 남는 섬', 오동도·조도·지심도·가덕도·오륙도·교동도
'가장 가보고 싶은 등대' 독도·산지·마라도·소매물도·호미곶·묵호등대

우리 국민들이 '가장 가보고싶은 섬'은 제주도, 울릉도, 독도, 거제도, 우도, 마라도, 홍도, 외도, 백령도 순으로 조사됐다.

섬문화연구소와 계간 섬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제주도(39.1%), 울릉도(16.2%), 독도(15.1%), 거제도(4.1%), 우도(2.6%), 마라도(1.9%), 홍도(1.4%), 외도(1.2%), 백령도(1.0%) 순으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성별로 보면 남성 40.5%, 여성 37.7%, 연령대는 18~29세에서 45.5%로 가장 높고, 울릉도는 성별로 보면 남성 16.2%, 여성 16.1%, 연령대는 50~59세에서 24.0%로 가장 높았다.

독도는 남성 16.2%, 여성 14.2%, 18~29세 20.3%로 가장 높고, 거제도는 남성 3.9%, 여성 4.3%, 18~29세에서 20.3%로 가장 높았다.

우도는 여성 3.9%, 남성 1.3%, 40~49세에서 4.3%로 높고, 마라도는 여성 2.5% 남성 1.3%, 연령은 40~49세에서 3.0%로 높았다. 홍도는 남성 1.7%, 여성 1.2%이고 60세 이상에서 4.8%로 가장 높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섬'은 여수 오동도, 진도 조도·죽도, 거제 지심도, 부산 가덕도·오륙도, 강화 교동도, 안산 구봉도, 옹진 굴업도·대청도, 마산 돝섬, 완도 신지도·생일도, 인천 신시·모도, 서천 웅도, 통영 한산도·연대도를 꼽았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가장 힐링(치유)하기에 좋은 섬'을 묻는 항목에서는 제주도(50.8%), 울릉도(6.2%), 거제도(3.0%), 우도(2.6%), 독도(1.9%), 마라도(1.2%), 강화도(1.1%), 완도·청산도(0.9%), 선유도·남해(0.8%), 가거도·사량도(0.6%) 순이다.

제주도는 여성 53.1%, 남성 48.5%이고 18~29에서 57.4%로 가장 높고, 울릉도는 남성 7.5% 여성 4.9%, 60세 이상에서 3.7%로 높았다. 우도는 여성 3.3% 남성 1.9%, 18~29세와 40~49세에서 3.0%로 높았고 독도는 여성 2.1% 남성 1.7%이고 40~49세에서 3.0%로 높았다.

'하루 정도 머물고 싶은 섬은 어디입니까?'라고 묻는 항목에서는 제주도 39.5%, 울릉도 12.0%, 독도 5.3%, 거제도 4.3%, 우도 3.3%, 강화도 2.3%, 홍도 1.4%, 진도 1.2%, 마라도 1.1%, 외도 1.0%, 청산도 0.9% 순이다.

'가장 아름다운 등대'는 제주 산지등대(3.0%), 호미곶등대(2.8%), 독도등대(2.2%), 여수 하멜등대(2.0%), 소매물도등대(1.8%), 간절곶등대·우도등대·마라도등대(1.5%), 묵호등대·속초등대(1.4%), 울기등대(1.3%), 팔미도등대·거문도등대(1.0%), 오륙도등대·영도등대·제주 이호테우말등대(0.9%) 순이다.

'가장 가보고 싶은 등대'는 독도등대(4.0%), 산지등대(2.9%), 마라도등대(2.4%), 소매물도등대(2.3%), 호미곶등대(2.1%), 묵호등대(1.6%), 우도등대(1.5%), 간절곶등대(1.3%), 속초등대(1.0%), 오동도등대(0.9%) 여수 하멜등대·팔미도등대(0.8%), 영도등대·울기등대·(0.7%), 주문진등대·오륙도등대(0.6%) 순이다.

이번 여론조사는 섬문화연구소와 계간 섬 의뢰로 (주)마켓링크가 온라인·모바일 조사패널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6일부터 11월 4일까지 10일간에 걸쳐 진행했다.

조사 및 분석에 활용된 유효표본은 총 1050명이며, 표본추출은 전국 17개 시도의 18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남녀 인구비례를 활용한 다단계층화추출법으로 진행했다. 이번 여론조사의 표본오차의 최대크기는 95% 신뢰수준에서 ±3.02% 포인트이며, 응답률은 11.7%이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