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코로나 격리해제 기준과 병원방문 기준 다르게 적용해야"

장종호 2021. 12. 28. 14: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격리해제 기준과 병원방문 기준을 똑같이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의사단체의 지적이 제기됐다.

현재 보건당국은 코로나19 확진 후 재택치료 및 생활치료센터 등을 통해 치료가 끝난 무증상·경증 환자에게 코로나19 PCR 검사를 거치지 않더라도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격리해제 확인서'를 발급해주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격리해제 기준과 병원방문 기준을 똑같이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의사단체의 지적이 제기됐다.

현재 보건당국은 코로나19 확진 후 재택치료 및 생활치료센터 등을 통해 치료가 끝난 무증상·경증 환자에게 코로나19 PCR 검사를 거치지 않더라도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격리해제 확인서'를 발급해주고 있다.

또한 격리해제된 환자가 전염력이 없기 때문에 코로나19 PCR 검사의 확인 없이도 의료기관 진료가 가능하다고 정부는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8일 발표한 권고문을 통해 "가급적 격리해제 후, 코로나19 PCR 검사로 음성임을 확인하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원회는 "의료기관의 경우 집단감염의 위험이 높고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가 많아 감염에 매우 취약한 곳"이라며 "어떠한 장소보다도 청정지역을 지향하며 마지막까지도 코로나로부터 철저히 방어해야만 하는 최후의 보루와도 같은 곳이라서, 만에 하나라도 발생 가능한 감염 우려를 선제적,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부득이한 경우에는 각 지역 국민안심병원 이용을 권고한다"면서 "격리해제 후 대부분 전염성이 없다고는 열흘 이후에도 전염력이 남아있는 등의 예외적 사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권고는 감염이 취약한 환자를 보호하고, 의료기관이 폐쇄되어 환자들의 진료가 어려워지거나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Copyrightsⓒ 스포츠조선(http://sports.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 칼은 왜 들고 있어 '2살연상 ♥김태희'도 깜짝 놀랄 셀카
장윤정, ‘성욕 포기vs전 재산 포기’ 질문에 비장한 대답→윤혜진 “♥엄태웅과 다툰 후 지온이 반응이..”
이휘재 비매너 논란 “휴대폰만 봐 무례”→논란제조기? '미운털' 제대로 박혔다
이세영, ♥日남친과 커플 목욕 파격 공개 “욕조에 같이 들어간 건 오랜만”
김종국♥송지효, 결혼하나..하하 “아침 식사만 찍어도 초대박” 가상 부부 제안
전현무, ♥이혜성과 애정전선 이상 생겼나? 나혼자 우울한 크리스마스
'혜리♥' 류준열 "사진 찍는 이유? '내가 거기 있었다' 존재감 커"
이런 선풍기는 없었다. 선풍기인가? 에어컨인가?
'비거리' 최대! 믿고 치는'드라이버' 전세계 최저가! 10자루 한정!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