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노인 보행자 사망사고 수, OECD 회원국 중 압도적 1위

이정현 2021. 12. 18. 07: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노인 보행자 사망 사고 수가 줄어드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여전히 압도적으로 1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만 명당 보행 중 사망자 수는 9.7명으로 가장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고 건수는 감소 추세..작년 최다 발생지역은 부산 서면교차로 부근
노인보호구역, 안심하고 횡단보도를 건너요 [도로교통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국내 노인 보행자 사망 사고 수가 줄어드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여전히 압도적으로 1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만 명당 보행 중 사망자 수는 9.7명으로 가장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우리나라에 이어서는 칠레(7.6명), 폴란드와 리투아니아(각 4.3명), 포르투갈(3.4명) 등이 많은 편에 속했다.

국내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는 2016년 1만1천425건에서 2017년 1만1천977건, 2018년 1만1천815건, 2019년 1만2천249건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9천739건으로 많이 줄었다.

사망자 수는 같은 기간 866명, 906명, 842명, 743명, 628명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부상자 수는 1만693명, 1만1천224명, 1만1천224명, 1만1천653명, 9천23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보행 노인 사고가 가장 자주 일어난 지역은 부산 서면교차로 부근으로 무려 15건의 사고가 나 16명이 중·경상을 당했다.

서울에서는 동작구 상도동 성대약국 부근에서 13건의 사고가 나 14명이 다쳤고, 동대문구 제기동 성바오로병원 앞 교차로 부근에서 10건의 사고가 나 10명이 부상했다.

이밖에 충남 공주시 산성동195 부근에서 13건, 전남 여수시 교동사거리 부근에서 12건, 부산 부경영돈농협서동지점 부근에서도 11건의 노인 보행 사고가 발생했다.

줄어들지 않는 노인 보행 중 사망사고에 지난달에는 공단이 행정안전부와 함께 사고 다발 지역 27곳에서 특별점검을 하기도 했다.

공단 관계자는 "고령자는 시각, 청각, 인지 반응 등 신체 능력의 저하로 보행 중 주변 교통상황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할 수 있어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양보하는 운전 습관이 필요하다"며 "특히 병원이나 복지시설 인근, 노인보호구역 등을 지날 때는 서행하고, 고령 보행자는 무단횡단과 차도 통행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lisa@yna.co.kr

☞ 한국계 3세 여대생, '미스 아메리카' 100주년 왕관 썼다
☞ 유명 배우 겸 가수, 아들 기다리던 중 괴한 총에 피살
☞ 박근혜 옥중서신…"믿었던 이들의 이탈로 적폐 낙인찍혀"
☞ '섹스앤더시티' 출연 미 배우 크리스 노스 성폭행 의혹
☞ 김종국, '약물근육' 의혹에 도핑 결과 공개…소변보는 모습까지
☞ 이준석 "제가 퇴폐업소? 제시·전현무도 간 마사지샵"
☞ "피할 수 없을 땐 성폭행 즐겨야" 망언 인도 의원 '뭇매'
☞ '표범물개, 상어도 잡아먹는다'…뉴질랜드서 첫 확인
☞ 직원들과 성관계한 맥도날드 전 CEO, 퇴직금 1천200억원 반납
☞ 조두순 폭행 20대 구속영장…"성범죄에 분노해 겁주려고"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