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5번째, 1306번째.." 호주에서 '이름값 하는' 노래기 찾았다

이근영 2021. 12. 17. 16: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독한 골초인 뱀과 닭, 지네가 화투를 치고 있었다.

닭이 "나는 다리가 두 개라 힘들어" 하고 뒤로 빼자 지네가 가게 됐다.

하지만 두 시간이 넘어도 지네가 돌아오지 않자 뱀이 문을 벌컥 열었다.

아직 지네가 문간에 있는 것을 본 뱀이 화를 벌컥 내자 지네는 "신발 신고 있잖아. 백스무번째, 백스물한번째"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다리 1306개 달린 노래기 발견
기존 가장 많았던 750개의 거의 두 배
"땅속 이동 쉽게 미는 힘 만들려 진화"
세상에서 가장 다리가 많은 노래기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됐다. ‘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지독한 골초인 뱀과 닭, 지네가 화투를 치고 있었다. 담배가 떨어지자 뱀이 닭한테 심부름을 시켰다. 닭이 “나는 다리가 두 개라 힘들어” 하고 뒤로 빼자 지네가 가게 됐다. 하지만 두 시간이 넘어도 지네가 돌아오지 않자 뱀이 문을 벌컥 열었다. 아직 지네가 문간에 있는 것을 본 뱀이 화를 벌컥 내자 지네는 “신발 신고 있잖아. 백스무번째, 백스물한번째…” 했다.

지네(Centipede)는 라틴어로 100을 뜻하는 낱말(centum)과 다리를 뜻하는 말(pede)의 합성어다. 노래기(Millipdde)는 1000을 뜻하는 낱말로 합성돼 있다. 지네보다 다리가 많다는 얘기다. 많은 다리는 벌레도, 곤충도 아닌 노래기의 특징이다. 하지만 말 뜻과 달리 다리가 1000개인 노래기는 지금까지 발견된 바 없다. 가장 많은 경우가 750개였다.

1306개의 다리를 지닌 노래기의 머리 부분. ‘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공동연구팀은 1000개가 넘는 다리를 지닌 노래기를 발견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 16일(현지시각)치에 보고했다. 이 노래기는 서오스트레일리아(서호주) 지역에 광산 개발을 위해 파놓은 60m 깊이의 구덩이에서 살고 있었다. 정확한 다리 수는 1306개이다. 눈이 없는 이 무척추동물은 길이가 9.5㎝인데 몸통 굵기는 1㎜밖에 되지 않았다. 마디는 330개였으며, 더듬이와 먹이를 위한 부리와 원뿔 모양의 머리를 갖고 있었다.(DOI : 10.1038/s41598-021-02447-0)

1306개의 다리를 지닌 노래기의 다리 부분. ‘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연구팀은 이 많은 다리를 어떻게 세었을까? 폴 마렉 미국 버지니아공대 곤충학과 교수는 “셔츠에서 7㎝짜리 흰색 실을 뽑는 것과 같다. 다리를 빼먹고 세지 않았는지, 중복해서 세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그램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사용했다. 노래기를 구부러지지 않게 한 상태에서 고해상도 이미지를 찍은 다음 다리를 10개씩 묶어 색깔로 표시하는 방법을 썼다. 세 번 세는 데 약 1시간 정도 걸렸다”고 <시엔엔>(CNN)에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한 노래기는 종 분류학적으로는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Eumillipes persephone)로, 이전에 가장 다리가 긴 것으로 알려진 750개 다리의 캘리포니아 노래기 종(Illacme plenipes)과 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두 노래기 종 모두 살고 있는 토양 속의 좁은 구멍에서 이동하기 쉽게 미는 힘이 생성되도록 많은 분절과 다리를 지니게 진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