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인 브랜드 흥행몰이 중, 청라 최중심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주목

2021. 12. 6. 08: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최고 67.6 대 1..수자인 브랜드 수요자 선택받아
- 분양 이후 상품, 주거서비스에 호평 이어져 분양 열기에 기름 부어
- 3일 당첨자 발표, 6~9일 당첨자 계약 앞둬..단기간 100% 완판 기대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투시도
㈜한양(이하 한양)이 인천 대표 부촌인 청라국제도시 최중심에서 주거형 오피스텔 공급으로 흥행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7월 수자인 브랜드 리뉴얼 후 수도권 첫 분양에서 그야말로 대박을 터뜨린 것이다. 특히 아파트뿐 아니라 주거형 오피스텔에서도 ‘수자인’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며 인천을 넘어 전국에서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지난 3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청라국제금융단지 B5-2블록에서 공급한 주거형 오피스텔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청약 결과 총 702실(전용 84㎡) 모집에 2만7377건이 몰려 평균 39.0 대 1로 후끈 달아올랐다. 이 중 84㎡A 타입은 234실 모집에 1만5809건의 청약이 들어와 67.6 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의 분양 대박은 결국 브랜드와 상품성이 결정지었다는 평가다. 실제 분양 초기만 하더라도 청라가 가지고 있는 초대형 호재가 주목을 끌었다. 하지만 견본주택 오픈 후 상황이 확 달라졌다. 고객들이 차별화된 상품과 주거 서비스에 호평을 쏟아내며, 수자인 브랜드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내비친 것이다. 실제 한양은 수자인 브랜드 리뉴얼 후 수도권 첫 분양이자 초고층 주상복합단지 펫네임으로 사용되는 ‘디에스틴’을 최초 적용해 차별화된 상품 구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청라동 A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이 가지고 있는 중소형 아파트를 대체 가능한 평면, 컨시어지 등 주거서비스에 전국에서 관심이 매우 높아 수자인 브랜드 파워가 제대로 통했다고 본다”라며 “입지가 좋은데다 바로 옆에 들어서는 한양수자인 레이크블루와 함께 대규모 브랜드 타운을 이루는 만큼 향후 수자인 브랜드 선호도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청약 당첨자는 12월 3일 발표하며, 당첨자 계약은 12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진행한다. 분양가는 6억원 중반부터 시작해 주변 중소형 아파트와 비교했을 때 합리적으로 책정됐다. 중도금(총 분양 대금의 60%) 전액 무이자 혜택을 제공하는데다, 유럽산 원목마루, 현관 중문, 삼성 비스포크 가전제품(일부 제외) 등을 기본 품목으로 제공해 구매 부담도 낮췄다.

수자인 브랜드가 청라에서 수요자들의 선택을 한 몸에 받으면서 한양도 이러한 시장의 기대치에 부응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한양은 이번 분양 외에도 올해 ‘의정부 고산 수자인 디에스티지(2407가구)’, ‘대구 한양수자인 더팰리시티(1021가구)’, ‘천안 한양수자인 에코시티(3200가구)’, ‘부산 에코델타시티 한양수자인(554가구)’ 등 곳곳에서 100% 계약을 마친 만큼 이를 토대로 상품과 브랜드 경쟁력을 한층 높여 분양 및 수주 현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근에는 수주 실적도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10월 노량진 역세권 청년주택(496가구) 수주에 성공한데 이어 △대전 읍내동 공동주택(264가구) 신축사업 △수원 조원동 가로주택정비사업(138가구) △미아1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 △인천 영종 공동주택사업 등을 잇달아 수주하면서 브랜드 가치를 높여가고 있다.

[최은화 매경비즈 연구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