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스타트업의 '한숨'..1대 운행하는데 택시업계는 "안된다"

윤지혜 기자 2021. 11. 12. 05: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쏘카

영업용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가 열리면서 택시업계와 모빌리티 기업 간 갈등이 자율주행 시장으로 옮겨붙을 조짐이다. 자칫 승차공유, 택시호출을 둘러싼 모빌리티 업권 갈등이 새로운 영역에서 3라운드를 맞게 될 가능성이 나온다.

11일 제주도와 업계에 따르면, 쏘카가 투자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는 지난달부터 현지 버스·택시업계를 대상으로 5차례나 만나 사업설명회를 진행해야 했다. 영업용 자율주행차로 생존권을 위협받을 수 있다는 현지 운송업계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고육책이다.

라이드플럭스는 올해 제주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까지(편도 38㎞) 미니밴 유상 운송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에 따라 제주도에 한정운수사업 면허도 신청한 상태다. 해당 구간은 지난해 11월 국토부가 선정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6곳 중 최장거리 구간으로, 라이드플럭스는 올해 7월부터 하루 2회 무상 왕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택시 기사들을 중심으로 현지 운송 업계의 반발이 나오면서 일정이 순탄치만은 않다. 이들은 관광객이 많은 주요 구간에서 자율주행차에 승객을 뺏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라이드플럭스가 운송요금을 기존 택시비의 절반 수준(1대당 1만8000원)으로 책정하면서 이들의 불안감은 더 커졌다. 제주도가 2017년부터 택시 감차에 나선 가운데, 신종 모빌리티 서비스를 늘리는 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영배 제주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은 "공항에서 중문까지 택시비가 3만5000원~4만원이 나오는데, 이의 반도 안 받는 서비스가 나오면 택시업계 타격이 크다"며 "지금도 제주도가 관광지순환버스 등을 늘리면서 승객을 뺏기고 있는데, 사실상 대형택시와 다름없는 서비스가 등장하면 기존 택시기사들은 막대한 손실을 볼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라이드플럭스는 차량 대수를 기존 5대에서 1대로 바꾸고, 이용요금도 1만8000원 정액제에서 탑승인원에 비례해 받는 방식으로 바꿨다. 버스업계도 별도의 정류장을 세울 것을 요구했으나, 주변 차량에 불편을 끼치지 않는 선에서 승객 승하차를 진행키로 협의했다. 라이드플럭스 관계자는 "현지 운송업계와 갈등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연내 상용화를 목표로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긍정적인 이해관계자도 있지만 반대하는 곳도 있어 일정 기간에 한정된 시범 서비스라는 점을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율주행 두고 택시 vs 모빌리티 또 충돌?…"공생 정책 필요"
유상운송은 자율주행 대중화를 위한 첫발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적지 않다. 국내 최초로 영업용 자율주행차를 선보인 건 카카오모빌리티다. 지난해 12월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세종시 정부청사 인근에서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했다. 최근엔 경기도가 판교, 서울시가 상암에서 자율주행 유상운송 사업자를 모집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내년 강남 일대에서 현대자동차와 레벨4(고도자율주행) 단계의 로보택시도 선보일 예정이다.

문제는 영업용 자율주행차가 늘면서 택시·버스업계와 모빌리티 기업 간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카풀(승차공유)부터 '타다'(플랫폼운송사업), '카카오T' 등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할 때마다 발생한 이해충돌이 재연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더욱이 운전자 개입이 필요없는 레벨4~5단계가 되면 자율주행차가 택시를 대체할 전망인 만큼, 양측의 생존권 경쟁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자율주행 초기 단계부터 사회적 갈등으로 성장동력이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세종시는 택시 1대당 인구수가 1000명일 정도로 택시 수도 적고 대중교통 인프라도 부족하다 보니 기존 운송업계와의 마찰이 없었지만, 제주도처럼 택시 주요 영업지역에선 업권 침해 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가 자율주행을 장려하는 동시에 택시업계 활로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늘날 모빌리티 갈등 기저엔 택시업계의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 문제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모빌리티 업체 관계자는 "요금·총량 규제 속에 사납금까지 내야 하는 택시기사 현실을 고려하면 신기술을 반대하는 것도 이해가 간다"라며 "자율주행 시대가 되면 동승 안전요원(세이프티 가드)부터 차량 모니터링 요원 등 택시기사 수요가 늘어날 수 있어 공생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남성호르몬 상위 1%" 김종국, 혈액검사 결과 공개'재벌 2세와 파경' 최정윤 "사랑해 결혼…이젠 남자 가치 없어져"생방송 중 방문 잠기고 신음소리…'성관계 의혹' 여캠에 일어난 일'60억 건물주' 기안84, 28평 빌라로 이사 "여자분만 오시면…""30년 팬 접습니다" 백신 안맞고 확진 임창정, 팬들도 등돌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