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가 현실로? 호주서 발견된 정체불명 '이상한 나라의 애벌레'

권윤희 2021. 11. 10. 14: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주에서 '이상한 나라의 애벌레'가 발견됐다.

9일 데일리메일 호주판은 동화에나 나올법한 푸른색 애벌레가 나타나 전문가 이목이 쏠렸다고 전했다.

시드니대학교 진화생물학과 나단 로 교수는 "딱정벌레 애벌레가 크면 제법 푸른색을 띠긴 하지만, 그렇다고 딱정벌레 애벌레도 아니"라며 갸웃거렸다.

이어 "애벌레 종이 무엇인지, 호주 토종인지도 확신하지 못하겠다. 다만 애벌레의 푸른색은 자연적인 것이라기 보다 이리도바이러스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호주에서 ‘이상한 나라의 애벌레’가 발견됐다. 9일 데일리메일 호주판은 동화에나 나올법한 푸른색 애벌레가 나타나 전문가 이목이 쏠렸다고 전했다.

호주에서 ‘이상한 나라의 애벌레’가 발견됐다. 9일 데일리메일 호주판은 동화에나 나올법한 푸른색 애벌레가 나타나 전문가 이목이 쏠렸다고 전했다.

호주 캔버라에 사는 트리스탄 글래슨은 지난 8일 5만 이용자가 모인 ‘호주 토착 동물’ 페이스북 페이지에 정체불명의 애벌레를 발견했다며 조언을 구했다. “이 애벌레에 대해 아는 사람이 있느냐”며 글래슨이 공유한 사진에는 선명한 푸른색 애벌레 한 마리가 담겨 있었다.

좀처럼 보기 어려운 파란 애벌레 등장에 호주 토착 동물 애호가들은 온갖 추측을 했다. 일부는 돌연변이 의혹부터 신종 출현설까지 제기했다. 어떤 이는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의 대표적인 아동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 애벌레가 현실에 나타났다고 호기심을 드러냈다. 문제는 전문가조차 정확히 어떤 종의 애벌레인지 확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시드니대학교 진화생물학과 나단 로 교수는 “딱정벌레 애벌레가 크면 제법 푸른색을 띠긴 하지만, 그렇다고 딱정벌레 애벌레도 아니”라며 갸웃거렸다. 박각시나방 애벌레를 언급하기도 했지만 끝내 사진 속 애벌레 종을 특정하지는 못했다.

그러면서 “애벌레 평균 길이는 종마다 1㎜에서 14㎝로 다양하긴 하지만 사진 속 유충은 애벌레치고 상당히 길다”며 호기심을 드러냈다. “나비나 나방 중 한 종류일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내놨다.

이어 “애벌레 종이 무엇인지, 호주 토종인지도 확신하지 못하겠다. 다만 애벌레의 푸른색은 자연적인 것이라기 보다 이리도바이러스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리도바이러스(Iridovirus)는 곤충류, 어류, 개구리처럼 일생을 물 속에서 보내는 동물에서 검출된다. 과거에는 헤르페스바이러스로 분류됐지만, 지금은 독립된 과로 인정된 상태다. 간혹 보이는 밝은 파란색이나 보라색 곰벌레가 바로 이리도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다. 나단 로 교수는 “이리도바이러스는 곤충 내부에 결정체를 형성해 푸른색을 띠게 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렇게 푸른색을 띠는 애벌레는 난생처음 본다고 부연했다.

이리도바이러스는 수온이 20도를 넘는 여름철 고수온기에 돔류나 농어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감염된 어류는 빈혈 증상, 이상 유영 형태를 보이며 장기 가운데 비장이 커진다. 특히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은 치어에서 90%의 높은 폐사율을 보인다. 치료제가 딱히 없어 예방이 중요한데, 지구온난화와 함께 고수온 현상이 지속하면서 이리도바이러스로 인한 어류 폐사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