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베를린장벽 붕괴 32주년..독일 대통령 "민주주의 지지자 용기 본받아야"

2021. 11. 10. 09: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서독을 갈랐던 독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지 32년이 지났다.

9일(현지시간)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베를린 장벽 붕괴 32주년 등을 맞아 대통령궁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이날 기념식에 연설자로 나선 얀 특임관은 구동독에서 민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쫓기고 체포돼 1982년 강제로 서독으로 추방당했던 경험을 털어놓으며 베를린 장벽 붕괴를 '기쁨과 승리의 순간'으로 기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슈타인마이어 대통령, 대통령궁에서 기념식 열어
"민주주의 영원히 보장될 수 없는 사실 상기시킨다"
베를린시, 베르나우어가에서 촛불·장미꽃으로 기념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왼쪽)이 9일(현지시간) 마고 프리드랜더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손을 잡고 있다. 9일은 독일 현대사에서 중요한 날짜로 꼽힌다. 1938년 11월 9일 유대인 학살 ‘크리스탈나흐트’가 발생했으며, 1989년 같은 날에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EPA]

[헤럴드경제=유혜정 기자] 동서독을 갈랐던 독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지 32년이 지났다.

9일(현지시간)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베를린 장벽 붕괴 32주년 등을 맞아 대통령궁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참석했다.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1989년 11월 9일은 자유와 민주주의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게 아니고, 영원히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을 상기시킨다”면서 “당시 민주주의 지지자의 큰 용기를 본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로 다시 볼 수 있을 거야’라며 헤어졌던 롤란트 얀 구동독 국가안전부 관련 문건 담당 특임관을 비롯한 수많은 동서독의 가족은 1989년 11월 9일 밤 이후 행복하게 서로를 끌어안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 연설자로 나선 얀 특임관은 구동독에서 민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쫓기고 체포돼 1982년 강제로 서독으로 추방당했던 경험을 털어놓으며 베를린 장벽 붕괴를 ‘기쁨과 승리의 순간’으로 기억했다.

이날 베를린시는 장벽의 흔적이 남은 베르나우어가에서 촛불을 켜고 장미꽃을 꽂으며 기념했다. 베르나우어가에서는 수많은 사람이 탈출을 시도하다 희생된 바 있다.

베를린장벽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독일 베를린시 베르나우어가에 9일(현지시간) 장미꽃이 꽂혀져 있다. [로이터]

냉전 시대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은 1961년 8월 13일 동독 정부가 서베를린을 동베를린과 주변 동독지역으로부터 가르는 국경을 폐쇄하면서 182km 규모로 건설됐다.

이후 동독은 야권의 강력한 항의시위와 주민들의 대대적인 동유럽을 통한 출국 행렬 속에 국경을 개방했다. 장벽이 붕괴될 때까지 5000여명이 이 장벽을 넘어 탈출을 시도했고, 이중 20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yoohj@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