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계좌 통한 보이스피싱 5년간 4만건.. "고령층 피해 우려"

강한빛 기자 2021. 10. 15. 15: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지역농축협과 농협은행 계좌를 통한 보이스피싱 사기가 4만건 가까이 발생했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더불어민주당·제주 서귀포시)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지역농축협과 농협은행 계좌를 통한 보이스피싱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3만9798건의 보이스피싱 사기사건이 발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 국감]
지역농축협과 농협은행 계좌를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최근 5년간 473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이미지투데이
최근 5년 동안 지역농축협과 농협은행 계좌를 통한 보이스피싱 사기가 4만건 가까이 발생했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더불어민주당·제주 서귀포시)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지역농축협과 농협은행 계좌를 통한 보이스피싱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3만9798건의 보이스피싱 사기사건이 발생했다. 이 기간 누적 피해금액은 4731억원이다.

지역농축협 피해액 2982억원, 피해건수 2만6905건, 농협중앙회 농협은행은 피해액 1750억원, 피해건수 1만2893건으로 집계됐다.

피해건수와 피해규모는 2017년 6268건(315억원), 2018년 1만82건(966억원), 2019년에는 1만3896건(1964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5477건(758억원)으로 피해가 줄었지만 올해 8월까지 총 4071건(387억원)이 발생해 여전히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이 돌려받은 금액은 769억원으로 전체 사기피해 금액의 16.2%에 그쳤다. 지역농축협의 환급액은 479억원, 농협중앙회 농협은행 환급액은 290억원이다.

위성곤 의원은 "고령자가 많은 농촌 현실을 고려할 때 더 이상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깜짝이야 누드인줄"… 롯데 치어리더, 놀라운데?
"수영하다 벗겨질듯"… LG 치어리더, 아슬아슬 비키니
아들 술파티 열어주고 성폭행 부추긴 엄마 '쇠고랑'
"얼굴이 다했네"… '인간 샤넬' 제니, 치명적 몸매
'100억 CEO' 김준희 심경 "일만 하다 죽기 싫어"
"결혼하는 분위기?"… 서현, 순백색 베일 속 청순미녀
육상 1만m 세계 기록 보유자 피살… 남편이 용의자?
"왼팔기능 상실"… 백신 부작용한 방송인 누구?
유튜브 판도 바꾸는 임영웅 파워, 어떤 영상이길래
함소원은 왜 그럴까?… 쇼핑몰 논란에도 '마이웨이'

강한빛 기자 onelight9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