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페이지로 만나는 9월 해외 건축 뉴스

매거진 2021. 9. 6. 1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덴마크 코펜하겐이 2023년 세계 건축 수도로 지정됐다고 국제건축사연맹(UIA)이 발표했다.

2018년 유네스코와 UIA가 맺은 파트너십 협약에 따라 3년마다 열리는 UIA 세계대회의 개최 도시를 세계 건축 수도로 지정하고 현대 도시 계획 및 건축 문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첫 수도는 지난 7월 세계건축대회를 개최한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이다.

코펜하겐은 "지속 가능한 미래 : 아무도 남기지 말라"를 주제로 주요 행사와 프로그램을 개최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ORLD ARCHI TOPICS


코펜하겐,
2023년 유네스코-UIA
세계 건축 수도 공식 지정


덴마크 코펜하겐이 2023년 세계 건축 수도로 지정됐다고 국제건축사연맹(UIA)이 발표했다. 2018년 유네스코와 UIA가 맺은 파트너십 협약에 따라 3년마다 열리는 UIA 세계대회의 개최 도시를 세계 건축 수도로 지정하고 현대 도시 계획 및 건축 문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첫 수도는 지난 7월 세계건축대회를 개최한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이다. 코펜하겐은 “지속 가능한 미래 : 아무도 남기지 말라”를 주제로 주요 행사와 프로그램을 개최할 예정이다.


소금상자를 닮은 퀘벡의
세 번째 인증 패시브하우스

ⓒ Raphaël Thibodeau


솔트박스 하우스는 캐나다 퀘벡에서 세 번째로 인증받은 패시브주택으로, 패시브하우스와 LEED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목재 외장재와 셀룰로오스 단열재 등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신중하게 자재를 선택했다. 두 가지 유형의 지붕 경사면을 결합한 ‘L’ 모양의 설계를 통해 17세기 시골의 솔트박스형 주택 양식을 빌려왔다. 메인 세션의 박공 지붕과 하부의 단일 피치 지붕은 한때 소금을 습기로부터 멀리하기 위해 벽난로 꼭대기에 두었던 뚜껑이 달린 소금 박스를 차용한 형태이다.


극한의 날씨로부터
집을 보호하는 콘크리트 기둥 집

ⓒKai Nakamura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 시에는 극한의 날씨로부터 집을 보호하기 위해 콘크리트 기둥 위 지면에서 70cm 높이에 지은 집이 있다. 이 지역은 겨울에 폭설이 잦고 인근 강의 범람 위험이 있어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기둥 위에 일본식 주택을 짓게 된 것. 집은 땅속으로 9m 아래로 뻗어 있는 철근 콘크리트 말뚝으로 지지되며 콘크리트 기둥은 전신주와 모양이 유사하도록 설계되었다.


숲의 색깔을 흡수하는
덴마크의 구리 팔레트 오두막

ⓒRasmus Hjortshøj


시간이 갈수록 숲의 색으로 변하는 오두막이 있다. 덴마크 오르후스 외곽 숲에 있는 이 오두막은 외벽과 지붕이 모두 구리로 덮여 있다. 붉은 갈색빛의 구리 팔레트는 주택 주변의 너도밤나무들과 색상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선택했다. 또한 시간이 지나 구리가 녹색으로 산화되면서 숲의 다른 나무들과도 점점 색상이 일치하게 될 것이다. “내부와 외부의 경계 없이 아름다운 숲의 경관이 자유롭게 전환되도록 하고 싶었다”고 건축가는 말했다.


버리는 조개 껍질이
디자인 도자기로 변신

ⓒPeter William Vinther


코펜하겐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B onnie H villum의 Natural Material Studio에서 조개 가루로 만든 점토로 도자기를 만들었다. 유명한 레스토랑에서 재료를 공수하고 도예가 Esben Kaldahl과 협력하여 조개 껍질을 기반으로 한 소재를 개발해냈다. 강한 열에 노출된 후 생석회가 된 조개 껍질을 곱게 갈아 가루로 만들고 천연 성분과 혼합하여 점토체로 만드는 원리다. 이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테이블 매트나 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생분해성 해조류 직물 제작도 진행됐다.


구성_ 조재희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21년 9월호 / Vol.271  www.uujj.co.kr


Copyrigh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