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신규 확진자 5일째 감소.."규제해제 영향 아직 반영 안돼"

최윤정 2021. 7. 26. 22: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에서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5일째 감소하면서 정점을 찍었다는 낙관적인 의견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5일 2만9천173명으로 6일 이후 처음으로 3만명 아래를 기록했다고 더 타임스가 26일 보도했다.

영국의 하루 확진자는 17일 5만5천명에 육박했으나 이후 증가세가 주춤하더니 20일(4만6천558명) 이후로 내리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만명대에서 2만9천명으로↓..유로2020 종료·방학·더위 영향 등
백신 2차 접종한 대학생만 강의 수강 허용안 제시

(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 = 영국에서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5일째 감소하면서 정점을 찍었다는 낙관적인 의견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그러나 19일(현지시간)부터 실내 마스크 의무 등 방역규제를 대거 푼 영향이 아직 반영되지 않아서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5일 2만9천173명으로 6일 이후 처음으로 3만명 아래를 기록했다고 더 타임스가 26일 보도했다.

영국의 하루 확진자는 17일 5만5천명에 육박했으나 이후 증가세가 주춤하더니 20일(4만6천558명) 이후로 내리 감소했다.

예전에 확진자가 줄었을 때는 봉쇄 효과였지만 이번엔 반대로 규제를 풀었다. 백신 접종이라는 차이가 있긴 하다.

그러나 백신 효과라고 보기엔 천천히 집단 면역을 향해 다가간 것이라서 확진자 그래프가 이렇게 가파른 형태가 아니어야 한다며 더 타임스는 확진자 감소 배경에 관해 "다소 미스테리"라고 평가했다.

런던 병원 밖에서 환자 이송하는 구급차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다만 최근 2020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2020)가 끝나고 학교가 방학에 들어가는 한편 날씨가 좋아지며 실외 활동이 늘어난 영향이 일부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확진자 감소가 집단 면역이 아니라 행동 변화에 따른 것이라면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더 타임스는 지적했다.

초기에 델타 바이러스가 퍼졌던 블랙번과 볼턴 지역은 5월에 정점을 찍으며 집단 면역에 도달한 것으로 보였으나 지금 확진자가 다시 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 당국자들은 청년층이 백신을 기피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18∼29세 중 3분의 1이 아직 1차 접종도 안 했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백신을 2차 접종한 대학생들만 강의를 듣거나 기숙사에 들어가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더 타임스는 전했다.

이스트 앵글리아 의대 폴 헌터 교수는 "확진자 감소는 좋은 소식이지만 다음 주말께 규제완화 효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한 뒤 판단하겠다"며 "앞으로 며칠이 결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merciel@yna.co.kr

☞ 지창욱·알베르토 코로나19 확진…방송가 확산 지속
☞ 대낮 뉴욕 한복판서 야만적 폭행…68세 노인 기절
☞ "아이 나올것 같아요" 40대 임신부, 감동적인 119구급차 출산
☞ '바람 강할텐데' 日 태풍상륙을 양궁 대표팀이 반기는 이유
☞ 미사일처럼 날아와 꽂힌 1.2m 쇠기둥…운전자는?
☞ 배우 김민귀 측 "사생활 물의 사과"…자가격리 위반은 부인
☞ "남성에게 좋다?"…거북알 600개 81만원 거래 적발
☞ "쫄았던것 인정"…탈락후 셀카 올렸다 온라인서 뭇매맞은 中선수
☞ MBC 왜이러나…올림픽 축구 루마니아전 '조롱 자막'으로 또 구설
☞ 광주 도심 도로변 주차 트럭 안에서 백골 시신 발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